<p></p><br /><br />김원웅 광복회장 기념사가 이틀째 정치권 공방을 키우고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애국가를 폐기하자는 주장에 대한 여야 반응이 완전히 다른데, 강은아 기자가 짚어 보겠습니다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."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참석자들이 애국가를 제창한 뒤 곧바로 이어진 김원웅 광복회장의 기념사. <br> <br>[김원웅 / 광복회장(어제)] <br>"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의 친일, 친나치 관련 자료를 독일 정부로부터 받았습니다. '민족 반역자'가 작곡한 노래를 국가로 정한 나라는 전 세계에 대한민국 한 나라뿐입니다." <br> <br>미래통합당은 "대한민국 국가인 애국가를 부정한다"며 김 회장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하태경 통합당 의원은 "김구를 포함한 독립운동 선열이 자랑스럽게 불렀던 애국가를 친일 노래로 매도했다"며 "종북몰이, 친일몰이는 이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더불어민주당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, 개별 의원들은 김 회장을 옹호하며 통합당을 압박했습니다. <br><br>황희 의원은 "'공산당 때려잡자'의 반의반이라도 친일청산 의지를 가졌으면 한다"고 비판했고, 한병도 의원도 "통합당이 겨냥해야 할 비판의 과녁은 일본 아베 총리였어야 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진중권 전 교수는 "광복절에 데모하는 국가주의 변태들과, 5.18 광주에서도 불렀던 애국가까지 청산하자는 민족주의 변태들의 싸움"이라고 여야를 싸잡아 비판했습니다. <br><br>민주당이 9월 정기국회에서 '친일파 파묘법' 처리를 추진하기로 한 만큼 통합당과의 또 한 차례 격돌이 불가피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