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당시 광화문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으로 5만 명이 모였습니다. <br> <br>지자체들이 집회 후 뿔뿔이 흩어진 이들을 추적 중인데, 명단 제출조차 거부하고 있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버스들이 줄지어 도로에 서있습니다. <br> <br>광화문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모여든 겁니다. <br> <br>사랑제일교회 방문자와 광화문 집회 참석자들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, 전국 지자체들은 초비상입니다. <br> <br>문제는 참석한 사람이 누군지 파악이 어렵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구의 경우 1천 명 가까이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추산되는데, 방역당국이 집회 관계자에게 참가자 명단을 요청했다 퇴짜를 맞았습니다. <br> <br>[이상민 / 대구시 문화예술정책과장] <br>"내려오는 버스마다 직원들이 5곳 하차지점에 다 배치돼서. 대부분 인솔자나 참석했던 분들이 신원이나 소속 등 개인 신분 밝히기를 꺼려 했습니다. " <br> <br>집회 관계자들은 명단이 없다고 하거나 있어도 줄 수 없다고 버티고 있습니다. <br> <br>[광화문 집회 관계자] <br>"명단도 없고 제출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사랑제일교회가 방역당국에 제출한 교인 명단도 논란입니다. <br> <br>[김경수 / 경남지사] <br>"(통보받은) 47명 중에 40명이 본인들은 사랑제일교회를 방문한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급기야 지자체들은 긴급행정명령을 발동해 집회 참가자와 사랑제일교회 신도 찾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일부 참가자들은 여전히 연락이 닿지 않거나 검사를 거부하고 있어 애를 먹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. <br> <br>yu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건영,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