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광훈 교회에 성난 여론…"방역엔 역효과" 우려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, 그리고 광복절 집회 참가자와 관련된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국민들의 분노와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 같은 비난이 자칫 방역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사랑제일교회발 감염이 수도권 이외로도 퍼지면서, 여론은 싸늘합니다.<br /><br />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는 전광훈 목사의 재수감을 촉구한다는 청원이 30만명을 넘었고, 광복절, 광화문 집회에 참가했다가 확진판정을 받은 사람들 역시 사회적 책임을 물어 자비로 치료하게 하라는 청원에도 많은 사람들이 동의했습니다.<br /><br />개신교 주요 단체들은 사랑제일교회가 본연의 종교활동을 넘어 정치 집단화됐다면서, 일부 교회가 집단감염의 온상격이 된 데 사과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과 관련한 산발적인 감염에, 자신도 모르는 사이 확진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이들을 향한 비난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방역에는 오히려 역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(방역지침 안 지킨) 거기에 대해서는 마땅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하지만 무작정 비난하면 이분들이 당장만 해도 여러 가짜뉴스를 내세우면서 검사 거부한다든가 그런 형태를 보이잖아요, 도주하기도 하고…"<br /><br />이른바 n차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시민 개개인의 방역 강화 노력은 더욱 절실해졌습니다.<br /><br /> "결국은 우리 국민 모두가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의식이 많이 약화됐던 측면이 분명히 있거든요. 스스로도 자성할 필요…"<br /><br />방역당국은 향후 확진자가 사랑제일교회와 무관하거나 타지역 전파 같은 사례로 늘 경우 더 큰 위기로 진행한다는 반증이 될 거라며, 이번 주말까지를 2차 대유행의 1차 기로라고 판단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