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이 코로나19 중대 국면에 들어선 시점에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정부와 의료 정책을 놓고 강대강으로 대치하다 결국 파업까지 이어진 것인데, 그 뒷얘기는 잠시 후 집중 분석하겠습니다. <br> <br>먼저 조현선 기자가 다음주까지 이어진다는 파업 일정을 정리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한 전공의가 '환자 위한 환경을 달라'는 피켓을 들고 릴레이 1인 시위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안에 반대하면서 전공의들이 무기한 파업을 시작한 겁니다. <br> <br>전공의 무기한 파업은 2000년 의약 분업 사태 이후 20년 만입니다. <br><br>내일은 3년차 레지던트, 모레는 1, 2년차가 순차적으로 업무에서 손을 뗍니다. <br> <br>24일부터는 전공의 파업 때 업무를 대체했던 전임의들까지 합류합니다. <br> <br>이후 26일부터 사흘간은 동네병원 개원의들도 파업에 동참합니다. <br> <br>서울 시내 주요 병원은 수술 일정을 늦추고 환자 예약을 줄이는 등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파업을 중단하면 정책 추진을 유보하겠다고 했지만, 의사협회는 완강히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[최대집 / 대한의사협회장] <br>"보건복지부와 머리를 맞대며 치열한 고민을 거듭하였으나 이 역시도 무위로 돌아갔습니다." <br><br>의대 정원 증원 등 정책부터 철회하라는 의료계의 요구에 정부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.<br> <br>[김강립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] <br>"진료개시명령과 이 명령에 불응할 경우, 면허에 대해 가해지는 이러한 조치들도 있고…." <br> <br>파업을 강행할 경우 의사면허 정지나 취소 같은 법적 제재 조치까지 고려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코로나19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와 의료계가 강 대 강으로 대치하면서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. <br> <br>이에 대한전공의협의회는 단체행동 중에도 필수의료 유지의 원칙은 지켜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조승현 <br>영상편집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