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정보원이 국회 보고에서 내놓은 '위임통치'라는 말은 1인 독재체제인 북한에서 있을 수 없는 말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정원이 이런 표현을 사용하면서 적지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켰는데요, <br /> <br />어떤 의미를 담은 걸까요? 장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박지원 신임 국정원장의 국회 정보위원회 첫 보고 자리. <br /> 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 9년 차를 맞아 '위임통치'를 실시하고 있고, 동생 김여정 제1부부장이 사실상 2인자로 관여하고 있다는 보고가 파장을 불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불거졌던 김정은 신변 이상설에 무게를 싣는 내용으로 오해됐던 겁니다. <br /> <br />혼란이 가중되자 간사들이 정보위 회의가 끝난 뒤 추가 설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기 / 국회 정보위원회 민주당 간사 : 위임통치라는 용어를 국정원에서 만든 것이지, 북한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다, 이렇게 하면 깔끔할 거 같아요. 그러니까 지금 말씀하시는 것처럼 수렴청정, 이런 것은 전혀 아니다…. 후계자 구도와 관계되는 용어가 아니다.] <br /> <br />국정원에 따르면 김여정이 국정 전반에 관여하는 가운데 대미·대남 문제를 담당하고, 박봉주 당 부위원장과 김덕훈 내각총리가 경제 분야를, 최부일 군정지도부장과 리병철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 군사 분야를 총괄합니다. <br /> <br />'경제 내각책임제'를 강조하던 김 위원장은 앞서 김재룡 내각총리를 경질하며 책임을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의 설명에서 위임통치는 김정은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어서가 아니라, 오히려 9년간의 통치 경험을 통해 권력 장악에 대한 자신감을 쌓았기 때문이라는 데 무게 중심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선대와는 달리 당을 중심에 두고 정상국가 다운 통치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는 점도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3명이었던 정치국 상무위원회를 최근 김덕훈과 리병철을 추가해 5명으로 늘렸는데 당 전원회의 단상에 5명이 나란히 앉음으로써 여러 사람이 함께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홍현익 /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: 김정은이, 내가 결정하고 권력은 장악하고 있지만 내가 결정한 것을 이행하고 집행하고 하는 것을 조금씩 맡겨서 그리고 그 사람한테 그 분야에서 문제가 생기면 책임을 물어서 더 편하게 통치하겠다….] <br /> <br />북한은 앞서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당시 김여정이 김 위원장의 위임을 받아 지시했다며, '위임'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'위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82201094393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