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정부 “의료 정책 보류” vs 의협 “총파업 예정대로”

2020-08-22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코로나19 상황은 심각해지는데 정부와 의료계 갈등은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코로나19 안정될 때까지 의료계가 반발하는 정책을 미루겠다, 한 발 물러섰는데 의료계는 그 말 못 믿겠다, 파업 강행을 고수한 겁니다. <br> <br>최종 책임자인 정부든, 파업 당사자인 의사들이든, 지금은 볼모로 잡힌 국민들 생각부터 해야 할 때 아닐까요. <br>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등 관련 정책을 미루겠다며 의료계에 파업을 멈춰달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어제까지만 해도 정책 철회는 물론 유보도 없다는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겁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판단에서입니다. <br> <br>[박능후 / 보건복지부 장관] <br>"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에 대해서는 수도권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이후 의료계와 논의하며 추진해 나가겠습니다. 자신의 자리에서 진료현장을 지켜주십시오.” <br> <br>이번달까지 교육부에 넘기기로 한 의대 정원 규모도 통보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의료계는 정부의 "당분간 유보”는 어차피 정책을 추진한다는 뜻이라며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개원의들까지 가세한 오는 26일 총파업도 예정대로 강행하겠다고 맞섰습니다. <br><br>의사협회 측은 “의료계 반발이 심해 잠시 숨을 고르겠다는 것“이라며 "정책 유보가 아닌 완전 철회해야 한다”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정부도 다음 수순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어제부터 파업에 들어간 수도권 인턴, 레지던트 등을 상대로 현장으로 복귀하라는 업무개시 명령을 곧 발동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이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따르지 않으면 면허정지 처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의료계는 정부가 공권력을 통해 힘으로 제압하려는 의도라며 의료계 전체의 분노를 일으킬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.<br> <br>양측이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다음주에는 수술과 진료에 본격적인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여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woong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손진석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