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마른 하늘에 날벼락 이라는데 그 날벼락이 만 번 넘게 쳤다면. 그것도. 한 달 내내 산불이 꺼지지 않는 곳에 쳤다면. 믿어지십니까. <br><br>미국 캘리포니아 상황인데 주민들은 코로나 19 때문에 대피소도 못 가고 있습니다. <br><br>한수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밤하늘에 섬광이 번쩍하더니, 연속해서 번개가 내려칩니다. <br> <br>지난 사흘 동안 무려 1만 번 넘는 번개가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바짝 마른 숲에 번개까지 겹치면서 캘리포니아 산불은 걷잡을 수 없이 번집니다. <br> <br>[개빈 뉴섬 / 캘리포니아 주지사] <br>"전례 없는 이번 화재는 지난 72시간 동안 1만 2천 번 가까이 내리친 번개 때문입니다." <br> <br>차를 타고 대피하는 주민이 직접 찍은 영상에는 사방으로 휘날리는 불씨 때문에 앞이 보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산불 피해 면적만 서울 크기의 다섯 배에 이릅니다. <br> <br>피해 주민들은 코로나19 전파 우려로 대피소 대신 차에서 잠을 청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라이언 비에라 / 캘리포니아 주민] <br>"집이 불타버리면 살 곳이 없어지기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" <br> <br>배 밑을 헤엄치는 상어들. <br> <br>배에 있던 남성이 바다로 들어가 상어 등에 올라타더니 엄지까지 치켜듭니다. <br> <br>이 상어는 세계자연보전연맹에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는 고래상어로 일부 국가에서는 만지는 것도 불법입니다. <br> <br>"무모한 행동"이라며 비판이 쏟아지자 이 남성은 "고래상어를 구해주려 한 것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<br>새벽 4시부터 길게 줄을 선 사람들. <br> <br>코로나19 사태로 실직자들이 늘면서 호텔 직원 모집에 8천 명 넘는 구직자들이 모여들었습니다. <br> <br>300명을 뽑는 이번 시험에 예상 밖의 인파가 몰리자 호텔 측은 물과 식사 쿠폰을 나눠주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 사태 장기화가 낳은 씁쓸한 자화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 <br>sooah72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