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의 원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의 바라카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가 공급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우리나라는 바라카의 뒤를 이을 2호 원전 수주에 힘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지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처음으로 해외에 수출한 '한국형 원전', 아랍에미리트에 있는 바라카 원전 1호기입니다. <br /> <br />직원들이 송전을 위해 제어실 모니터와 설비 상황을 살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전 성공으로 산유국 아랍에미리트에서 최초로 원자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가 공급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라카 원전 1호기는 내년에 본격적인 상업 운전에 들어가게 되는데, 우리가 수주한 1, 2, 3, 4호기가 모두 가동되면 아랍에미리트 전체 사용 전력의 1/4을 생산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바라카 원전의 성공을 바탕으로 '수출 2호' 원전을 위한 노력도 활발히 펼쳐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전력은 '탈석유'에 나선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전에 참여해 발표를 기다리고 있고, 올해 입찰 공고가 예상되는 체코에서도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 기업들이 '팀 코리아'를 꾸려 힘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성윤모 산업부 장관도 체코 장관, 원전 특사와의 화상 면담을 통해 우리 기술력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된 상황이 수출에는 걸림돌입니다. <br /> <br />[정동욱 / 중앙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 : 탈원전 상황에서 공급국의 원전 산업이 정말 60년 동안 튼튼하게 유지될지 거기에 대해서 의구심을 갖게 됩니다. 30년 후에도 50년 후에도 자기들의 원자력 발전을 위해 필요한 부품을 조달받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갖기 때문에 (수출이) 쉬워 보이진 않습니다.] <br /> <br />탈원전을 둘러싼 갈등을 조속히 마무리 짓고 원전 판로 확대를 위한 전략수립에 박차를 가해야 할 때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지은[j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82305295948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