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1918년 스페인 독감 두 번의 세계대전 그리고 코로나 19까지.. 이 모든 일을 겪은 할아버지가 11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><br>주사바늘이 없어 면도칼을 썼다는 스페인 독감 당시 상황을 들어보면 지금 우리가 겪는 절망도 이겨낼 수 있다, 희망을 가져 봅니다. <br>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생신 축하합니다! 생신 축하합니다!" <br> <br>동네 어린이들에게 116번째 생일을 축하받는 할아버지. <br> <br>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장수 남성인 프레디 블롬입니다. <br><br> 1904년에 태어난 블롬 할아버지는 올해 116살로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 10대 때, 스페인 독감으로 가족을 모두 잃고 홀로 살아남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프레디 블롬 / 생전 인터뷰] <br>"(스페인 독감 당시) 주사 바늘조차 없었습니다. 의사들이 몰라서 면도칼로 대신했어요.” <br> <br> 세계보건기구, WHO 사무총장은 스페인 독감을 극복하는 데 2년이 걸린 것처럼, 코로나19도 2년 안에 사라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 중국 쓰촨성 러산시 도심 대로가 주차장으로 변했습니다. <br> <br> 화학공장의 배출 가스 처리 시설 고장으로 염화수소가 누출되자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의 탈출 행렬이 이어진 겁니다. <br> <br> 소량이 유출돼 인체에는 해가 없다고 당국이 밝혔지만, <br> <br>화학 공장 폭발 사고가 잦았던 중국에선 불안감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일주일 넘게 계속된 산불은 최소 6명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. <br> <br> 이미 우리나라 서울시 면적의 6배가 넘는 면적이 잿더미로 변했고, <br> <br> 40도가 넘는 폭염 속에 주민 수십만 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. <br> <br>[조 / 캘리포니아주 주민] <br>"2주에서 3주 정도 후에나 대피소에서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그것도 돌아갈 집이 남아있을 경우에만 해당됩니다.” <br> <br> 결국 캘리포니아주는 산불 진화 경험이 풍부한 캐나다와 호주에 소방대원 파견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