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대한감염학회 등 의료진들마저, 이제 의료체계가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에 이르렀다고 했는데요. <br> <br>이상연 기자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1. 이 기자, 의료계가 먼저 한계에 이르렀다고 말할 정도인데 코로나19 확진을 받으면 치료를 제대로 받긴 할 수 있나요? <br> <br>무시무시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대로 가면 의료시스템이 100% 붕괴한다고 봐야한다. 제가 오늘 취재한 전문가들의 의견이었습니다. <br> <br>현재 코로나19로 인한 중증이상의 환자는 32명인데요. 산소치료를 받거나 기계 호흡을 하는 환자들입니다. <br> <br>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는 열흘 뒤면 중환자가 100명이 아니라 150명까지 느는 걸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때는 병상, 의료인력, 치료제 모든 것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한중환자의학회는 현재 서울,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중환자 입원이 가능한 병상은 단 8개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2. 8개요? 앞에 박정서 기자 리포트에서는 정부가 서울에서만 63개가 남았다고 하지 않았나요? 왜 차이가 나는 겁니까? <br> <br>정부는 수도권에 69개 중환자 병상이 남아 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학회는 중환자들을 돌볼 인력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실제 입원 할 수 있는 병상은 63개가 나올수가 없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코로나19가 중증으로 발전하면 폐가 제 기능을 못해 산소포화도가 낮아지고 이걸 인위적으로 높여주는 치료를 해야하는데요. <br> <br>한마디로 음압병실이면서 산소 치료시설인 병실이 있어야 하는데 두 조건을 충족하는 곳도 많지 않습니다. <br> <br>2000개 병상이 있는 한 종합병원의 경우에도 코로나19 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격리병상은 단 4개 뿐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현장에서 파악하는 숫자와 왜 다르냐는 지적에 “누가 맞니라는 부분은 중요하지 않다고 했는데요. <br> <br>막상 중증환자들이 정부말만 믿고 병원에 갔는데 병실이 없다면 그 피해는 환자들에게 갈 수 밖에 없을 겁니다. <br> <br>3. 그런데 단순히 병상 숫자만 중요한게 아니라 중환자를 돌볼 인력이 더 중요하다고 의료계가 주장하는 이유는 뭔가요? <br> <br>중환자를 치료하려면, 중환자 케어가 가능한 의사, 간호사 등 의료 인력이 있어야 하는데요. 전체 간호사 가운데 10% 정도만이 중환자 케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. <br><br>저와 통화를 한 의료원 원장은요, <br> <br>중환자는 24시간 3교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 환자 1명당, 7명에서 14명의 인원이 배정되야 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간호사 1명이 여러명을 돌볼 수 있는 경증환자와는 차이가 크죠. <br> <br>여기에 의료 파업 문제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더 악화됐습니다. <br> <br>4. 중환자의 유일한 치료제로 승인된 게 렘데시비르인데 이게 다 미국에서 수입을 해야 하는 거잖아요. 그런데 공급이 막혔다고요? <br><br>렘데시비르는 중환자의 회복 시기를 단축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70세 이상에만 제한적으로 투약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언제 다시 공급이 제대로 될 수 있을지도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