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 뉴스입니다. <br> <br>지난 광복절 때 서울 보신각에서 열렸던 민주노총 집회 참가자 중에 처음으로 확진자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방역당국은 광화문 집회에 비해 민노총 집회의 위험성이 낮다며 전원 검사를 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민노총은 지난 15일 서울 보신각 일대에서 2천 명 규모의 노동자 대회를 열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승리의 함성 시작!" <br> <br>앞서 서울시는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들어 집회를 금지했지만, 민노총은 기자회견 형식으로 집회를 강행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집회에 참석했던 40대 노조원이 그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민노총 금속노조 기아자동차 화성지회 소속 노조원으로, <br> <br>광복절 집회 참석 뒤에도 사흘간 출근해 노조 업무도 봤습니다. <br> <br>방역당국은 접촉자 20여 명에 대해 검사를 진행하고, <br> <br>집회를 통한 감염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광화문 집회처럼 참가자 전원을 검사를 할 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] <br>"어디서 감염됐는지 그 부분에 대해 위험도를 먼저 판단해보고, 위험도에 따라서 추가 조치에 대한 방침을 결정할 예정(입니다.)" <br> <br>민노총도 "광복절 기자회견을 감염 원인으로 단정 짓기 어렵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앞서 기아차 화성공장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같은 날, 인접 지역에서 열린 두 집회의 감염 위험성 평가기준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<br>[김은혜 / 미래통합당 대변인 (어제)] <br>"친여 집회에는 추적도, 명단확보도 안하는 방역 당국은 코로나 위험도가 민노총에는 다르다고 합니다." <br><br>민노총 집회발 추가 확진이 잇따르기 전에, <br> <br>참가자 전수검사 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whk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