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대 정원 확대 등 4대 의료 정책을 놓고 갈등을 빚는 정부와 의료계가 대화의 물꼬는 텄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6일 총파업은 강행될 예정인데 다만 전공의 일부 인력이 코로나19 진료 업무에 복귀하기로 하고, 의협도 정부와 실무 차원의 대화는 재개하겠다는 방침이어서 막판 타결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 속에 시작된 의료계 파업, 그로 인한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열린 자리. <br /> <br />전날 전공의에 이어 이번엔 의사협회와 정부가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시작은 순조로웠습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와 총리 간 만남에서 전공의들은 파업 철회나 전면 현장 복귀는 아니지만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진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하고, 정부와 진정성 있는 대화에 착수한다는 진전된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정세균 / 국무총리 : 보건의료 정책 현안에 대해 의료계와 열린 자세로 진지하게 논의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이번 만남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대화 먼저, 의료계는 정책 철회를 계속 고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회의는 한 시간 만에 끝났습니다. <br /> <br />의사협회는 이미 진행 중인 전공의와 전임의 파업, 26일부터로 예정된 2차 총파업을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대화 창구를 아주 닫진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은 코로나19의 심각성에 공감하고 즉각 실무대화를 갖기로 해 막판 타결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미 주요 대형병원에선 이미 전공의와 전임의 파업으로 인한 진료 차질이 빚어지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래 진료와 신규 환자 입원, 수술 일정을 대폭 줄이기 시작한 겁니다. <br /> <br />병원에 따라 수술 건수는 평소의 1/3이나 줄이는 중인데 시간이 갈수록 수술 건수 축소, 진료와 입원 제한은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전공의와 전임의의 파업은 무기한을 예고해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가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2422151000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