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부터 서울시에서는 실내와 실외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 됐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밖에서 담배를 피울 때입니다. <br><br>거리에서 흡연하는 사람들은 마스크를 벗을 수 밖에 없는데. <br> <br>흡연 장소가 또 밀집된 경우가 많아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김민곤 기자가 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마스크를 턱에 걸치거나 아예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이 거리에서 담배를 피웁니다. <br> <br>옆으로는 보행자도 지나다닙니다. <br> <br>담배 연기를 내뿜을 때는 연기와 함께 침방울이 섞여 나옵니다. <br> <br>만약 코로나19 바이러스 보균자가 담배를 피운다면 공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도 있는 겁니다. <br><br>[천은미 /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연기 속에 더 작은 에어로졸 형태의 바이러스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더 감염력이 더 높고…." <br> <br>비흡연자들은 불안하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정화자 / 서울 관악구] <br>"코로나 때문에 많이 걱정되고 될 수 있으면 피해서 다니는 편이에요. (흡연자들이) 다른 사람들도 생각해줬으면 좋겠어요." <br> <br>흡연자도 걱정되는 건 마찬가지지만 흡연 구역이 부족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흡연자] <br>"흡연자들이 설 데가 많이 없어진 건 확실하잖아요. 흡연구역도 많지도 않고, 많이 불편하죠." <br> <br>야외에 설치된 흡연 부스도 안전하지만은 않습니다. <br> <br>[김민곤 기자] <br>"실외 흡연 부스는 이렇게 출입구가 뚫려 있어 완전히 밀폐된 공간은 아닙니다. <br> <br>하지만 공간이 좁아 흡연자들이 몰리면 거리두기는 지켜지기 어렵습니다." <br> <br>21제곱미터, 약 6.3평 되는 흡연 부스에는 10명 넘는 흡연자들이 다닥다닥 붙어있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스페인 일부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야외 흡연을 전면 금지했고, 우리나라에서도 경기 수원시가 실내 흡연실 폐쇄를 강력 권고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부 차원의 별도 대책이 없어 길거리 흡연이 코로나 방역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imgon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강철규 <br>영상편집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