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온종일 허리 숙이고 땀을 흘리던 농사 모습이 몰라보게 달라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첨단 기술이 장착된 스마트 농장 모습 보시죠. <br><br>공국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푸른 들녘 한가운데에 축구장 5개를 합친 넓이의 거대 유리 온실이 보입니다. <br> <br>온실 안에선 농민들이 궤도차에 앉아 토마토를 골라 수확하는 손길이 분주합니다. <br> <br>겉모습은 일반 토마토같지만 당도가 높고 색깔도 다양해 2배 넘는 가격에 팔리는 칵테일 토마토입니다.<br><br>수확은 사람 손이 필요하지만 생육 관리는 온실 한 켠에 자리잡은 첨단장비의 몫입니다. <br> <br>물 공급부터 일조량 조절, 환기창과 차양막 작동까지 클릭 한 번에 제어하는 '스마트팜'의 핵심 설비입니다. <br> <br>[공국진 기자] <br>"이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, 온실 내의 온도와 습도 등 모든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30대 청년농부가 온실에 붙어있지 않아도 농장 걱정은 없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[허정수 / 하랑영농조합법인 대표] <br>"정확하게 세팅(설정)을 해주면 정확한 그 시간대, 원하는 명령어를 정확히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팜은 무조건 해야되는…." <br> <br>흙 대신 코코넛 껍질을 잘게 부순 '코코피트'에 토마토를 심은 것도 이유가 있습니다. <br><br>[허정수 / 하랑영농조합법인 대표] <br>"(코코피트를 쓰면) 뿌리가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, 물이 얼마나 필요한지 아닌지를 객관화된 수치로 알 수가 있거든요. 훨씬 더 정밀한 농업을 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유리온실과 스마트팜 구축에 적지 않은 투자를 했지만 <br> <br>비닐하우스 대비 생산량도 많고, <br> <br>부가가치가 높은 토마토 생산이 가능해 연매출이 30억 원에 이릅니다. <br> <br>청년농부의 집념과 첨단기술이 일궈 낸 스마트팜에선 토마토와 농촌의 내일이 함께 익어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. <br> <br>kh247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