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집값 잡기에 나선 정부가 경찰과 금융감독원까지 투입해 전방위로 부동산 투기를 조사했습니다. <br> <br>아는 사람이 더 하다고, 장애인 단체 대표가 알고 지내던 장애인들과 국가유공자 13명의 명의를 이용해 부정으로 청약에 당첨됐습니다. <br> <br>적발 사례, 박지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한 수도권 고시원의 거주자로 등록돼 있던 A 씨. <br> <br>다른 고시원 거주자들과 함께 지역 아파트 청약을 넣어 당첨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들은 고시원 업주에게 돈을 내고 전입신고만 한 채 실제론 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> <br>정부는 A씨를 포함해 다른 부정청약자 13명을 입건하고 수사를 진행 중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지난 8개월 간 실시한 부동산 시장 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전국 9억 원 넘는 고가 주택을 대상으로 이상거래가 의심되는 1700여 건을 조사한 결과 가족간 편법 증여 등 탈세 의심 사례가 <br>500건이 넘었습니다. <br> <br>부동산 계약날짜를 허위로 신고하는 등 거래신고법 위반 의심 사례도 211건에 달했습니다. <br><br>부동산 불법 행위 수사에서는 한 장애인 단체 대표의 이중 행각도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평소 알고 지내던 장애인과 국가유공자 등 13명의 명의를 빌려 아파트 특별공급에 청약해 부정당첨된 뒤 분양권을 팔아 차익을 챙긴 겁니다.<br> <br>[김홍진 /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] <br>"범행을 주도한 주범 7명을 검거했고, 이에 가담한 10여 명은 향후 보완수사 후 입건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이른바 '집값 담합'을 주도한 사람들도 검찰로 넘겨졌습니다. <br><br>이들은 인터넷 포털사이트 카페에 특정 가격 이하로 내놓지 말라는 글을 올려, 인근 공인중개사들의 업무를 방해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.<br><br>"정부는 서울 강남과 송파 등 주요 과열지역 기획조사도 마무리 한 뒤, 올해 안에 결과를 발표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