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협 파업 이틀째…수도권 전공의 진료복귀 거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의사협회가 2차 집단휴진에 들어간 지 이틀째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수도권 전공의와 전임의에게 진료 복귀 명령을 내렸지만 일부 전공의는 사직서까지 써가며 거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14일 의협의 1차 파업 이후 두번째 집단휴진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부터 전공의와 전임의에 이어 일부 동네의원도 집단휴진에 참여하고 있는데, 내일까지 계속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의협의 1차 파업 때는 동네의원의 32% 가량이 휴진했는데, 이번 2차 파업은 오늘 낮 12시 기준 9% 가량이 휴진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전공의들은 일주일째 집단휴진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형 병원에선 전공의, 전임의들의 빈자리를 교수급 의료진이 메우고 있지만, 수술이 미뤄지거나 일부 외래 진료가 축소되면서 환자들의 피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어제 수도권 전공의와 전임의를 대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, 주요 20개 병원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점검해 휴진 전공의 358명에게 업무개시명령서도 발부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전공의들은 병원에 사직서까지 제출하면서 진료 복귀를 거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오후 다시 병원을 점검한 정부는 진료에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을 경찰에 고발할 계획이었는데 일단 보류했습니다.<br /><br />병원장 간담회 등을 통해 이번 사태의 해결을 위한 의료계의 의견을 듣고 있는 만큼 실제 고발할지는 좀더 검토해보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의료법에 따르면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을 경우, 3년 이하 징역 또는 3,0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금고 이상의 형을 받으면 면허취소 등의 행정처분도 내려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의협은 의사들에게 불이익이 생길 경우 무기한 파업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힌 상황.<br /><br />하지만 정부와 의협 모두 대화는 계속 한다는 입장인 만큼, 의료공백이 커지기 전에 타협점을 찾을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