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는 위기다 위기다 하면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은 머뭇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도 ‘조만간’ 할 수 있다고만 했는데요. <br><br>지난 16일부터 수도권에서는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 중인데 일주일이 넘어도 별로 효과가 없습니다. <br> <br>방역 전문가들은 경제를 위해서도 빨리 3단계로 가자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, 경기 등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실시된 건 지난 16일. <br> <br>일주일 뒤에는 전국적으로 확대됐습니다. <br> <br>수도권의 경우 조치가 내려진 지 열흘 넘게 지났지만 코로나19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14일 100명 대였던 확진자는 2주 만에 4백 명대가 됐습니다. <br><br>지난 주말 수도권의 이동 감소량도 신천지발 집단감염이 불거진 대구 경북의 2월 상황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불과했습니다. <br><br>지난 2주간 국내 일일 확진자 수는 평균 281명. 확진자 수가 두 배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은 없지만, <br> <br>전문가들은 이미 3단계 격상 조건에 부합하는 위기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.<br> <br>[김우주 /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지금 문제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매일 100명 가까이 나오잖아요, 곳곳에서. 수도권 말고 각 광역 대도시 걱정해야하는 상황이니까." <br> <br>정부는 사회, 경제적 피해를 우려해 3단계 격상을 고심하며 먼저 2단계 조치를 제대로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[윤태호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 <br>"3단계 여부 또는 3단계에 준하는 조치들로 갈지, 완전한 3단계로 바로 이어갈지, 이런 모든 가능성에 대해 열어두고 지금 현재 속도 있게 논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." <br><br>하지만, 전문가들은 오히려 빠른 조치가 경제적 파장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[김탁 /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] <br>"1, 2주 관찰한 결과 2단계 수준으로는 통제가 안 되고 있다.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빨리 중재해서 기간을 줄이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요." <br> <br>정부는 "조만간 3단계 격상 여부를 결정하겠다"고 밝히며 막바지 검토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 입니다. <br> <br>kubee08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