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가 이렇게 고심을 거듭하자,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먼저 나서고 있습니다. <br><br>선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 준하는 조치에 나선 지자체들을 배영진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식당을 찾은 공무원들이 손님 방문 기록을 점검합니다. <br><br>방역수칙이 담긴 포스터도 빠짐없이 전달합니다. <br> <br>[문길만 / 자영업] <br>"자영업을 하는 사람으로서 힘든 건 많죠. 하지만 빨리 극복해야 하니까 적극적으로 방역에 동참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부산 기장군은 지난 18일부터 방역조치를 3단계 수준으로 높이고, 필수적인 사회경제활동 외에 10명 이상 모이는 일을 자제하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같은 방역 조치는 전국 최초입니다. <br> <br>[양희창 / 부산 기장군 안전도시국장] <br>"최근 코로나19가 주변 지자체에서 연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3단계 준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시하게 됐습니다." <br><br>이틀새 50명 넘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광주시도 사실상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 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습니다. <br> <br>오늘 정오부터 관내 모든 종교시설과 실내 체육시설에서 집합이 금지되고, 집합 제한 조치가 내려졌던 3백 명 미만 학원과 키즈카페 등도 10인 이상 집합 금지로 대폭 강화됐습니다. <br> <br>이밖에 코로나 확진자가 84명까지 늘어난 전라북도도 거리두기 3단계로 상향하기 위한 검토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을 3단계로 높일지 고심하는 상황에서, 일부 지자체들이 앞다퉈 3단계 거리두기에 나서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ica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