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금부터는 집단감염이 나온 곳들을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먼저 서울 구로구의 아파트는 층은 다르지만 같은 라인에 사는 입주자들이 무더기로 감염됐습니다. <br> <br>전파 통로로 아파트 욕실 환기구가 지목됐는데, 아직 명확한건 아니라서 입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남영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주민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서울 구로구의 아파트. <br> <br>확진자들이 층은 다르지만 같은 라인에 살고 있어 욕실 환기구를 통한 전파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 <br><br>아파트는 아래층 욕실 천장과 위층 환기장치가 맞물려 있고 하나의 배관으로 이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바이러스가 에어로졸 형태로 배관을 타고 이동했을 수도 있는 겁니다. <br> <br>에어로졸 전파 가능성은 있지만, 전문가들은 여전히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. <br> <br>[정해관 / 성균관대 사회의학과 교수] <br>"'공기전파는 절대는 안 된다' 하는 식의 논리는 성립하진 않습니다. (다만)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단정하긴 위험하죠." <br> <br>오늘은 같은 라인은 아니지만 같은 동에 사는 주민 2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불안합니다. <br> <br>[아파트 주민] <br>"공간이 떨어져 있어도 2m 밖에 있어도 '이제는 감염이 될 수도 있구나' 하는 그런 걱정이 생기는 것 같아요." <br><br>[동네 주민] <br>"여기가 원래 아래층에서 담배를 피우면 화장실로 올라온다는 소리를 들었어요. (아파트가) 오래돼서 그런 것 같아." <br> <br>방역 당국은 환기구를 통한 감염 가능성은 낮다며 일단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 <br>"증상 발현이 빠른 환자가 같은 아파트 내에서 조금 더 층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가 된 상황이긴 합니다." <br> <br>일반적으로 환기구에선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 윗층에 확진자가 있다고 하더라도 아래층 주민이 감염될 가능성은 <br>낮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기온이나 기압에 따라 공기 흐름이 바뀔 수 있는 게 변수입니다. <br> <br>또 첫 확진자보다 먼저 증상이 나타났더라도 나중에 확진 판정을 받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[구로구청 관계자] <br>"증상 발현일도 개인의 감정에 의해서 나오는 거잖아요. 모르겠어요. 저희도." <br><br>방역당국은 환기구에서 검체를 채취해 분석 중이고, 하수구와 엘리베이터를 통한 감염 가능성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. <br> <br>dragonball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