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확진자가 400명 대를 넘어서면서 방역당국의 대응이 지금 수준으로 괜찮나 걱정하는 목소리도 늘고 있습니다. <br>이상연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Q1. 400명은 5 개월 만에 나온 숫자라 정부도 긴장했을 것 같은데, 이제 3단계 거리두기 여부 빠르게 결정해야할 때가 온 것 같아요? <br> <br>방역당국은 그 동안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인 이야기만 해왔는데요. <br> <br>오늘은 조금 더 구체적으로, 완전한 3단계를 갈지, 3단계에 준하는 조치로 갈지 이런 모든 것들을 논의 중이라며 조만간 결정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2. 자, 오늘 이 시점 전문가들은 어떤 생각인지 궁금합니다. 정은경 본부장의 동기이고 코로나19 비상대응본부 실무단장인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님 연결해 보겠습니다. <br><br>1) 이사장님, 오늘 400명대로 환자가 늘었는데, 이 상태에서 확진자가 줄까요. 아니면 1000명 대를 넘어서 대유행까지 갈 가능성도 있을까요? <br><br>얼마든지 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고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과 개연성이 농후합니다. <br> <br>2) 지금 상황을 오페라 5막 중에 3막이다 이렇게 비유하셨다고 들었습니다. 그러니까 아직 절정이 안왔다는 건가요? <br> <br> 지역사회의 감염의 확대국면을 3막의 1장으로 표현한 거죠. 겨울지나면서 내년말까지 이어질 4막과 5막의 장기전을 잘 해놔야한다는 측면에서 그런 긴 여정을 묘사하기 위해서 그런 얘길했죠. <br> <br>3)아, 그러니까 올 겨울도 아니고 내년까지 갈 수 있다고 보시는거군요. 자 그러면 이사장님께서는 3단계 거리두기로 격상이 필요하시다고 보시는지요. <br> <br> 지금보다 최소한 2배 40~50%까지는 활동량이 줄어야 효과가 나타나는 거니까 좀 더 광범위하고 강력한 거리두기를 위한 사회적인 체계가 필요하다고 보는 거죠. <br><br>3. 네. 이렇게 전문가들은 상황을 정말 심각하게 보고있습니다. 그런데도 정부가 빠르게 3단계로의 격상을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는 뭔가요? <br> <br>경제적 파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3단계는 정부 표현대로 '봉쇄'에 가깝습니다. <br> <br>정세균 국무총리도 3단계 때는 거의 모든 경제 사회 활동이 멈추기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 없다고 밝혔죠. <br><br>3-1. 경제적 문제라. 네, 그럼 3단계 갔을 때 영향 받을 중위험시설들까지 영업 중단에 들어가는 거죠? 그 중에 카페만 생각해볼까요? 진짜 다 닫아야 하는거죠? <br><br>3단계가 실시되면 전국에 7만 개, 서울과 경지 지역에만 2만 개가 넘는 카페들이 모두 영업을 중단해야 합니다. <br> <br>카페 주인인 소상공인과 직원들 모두 수입원을 잃게 되는 겁니다. <br><br>3-2 테이크 아웃은 가능하지 않을까요? <br><br>정부가 3단계 이행을 빨리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로서는 3단계에 대한 큰 틀만 있을 뿐 세부지침이 없는데요, <br> <br>예를 들어 커피를 포장해 가면 가능한 건지, 만약 가능하다면 커피를 사기 위해 줄 서는 건 괜찮은지에 대한 지침은 없습니다. <br><br>또 중위험 시설 외에 지하공간도 영업이 중단될 걸로 예상되는데요. <br> <br>지하에 입주한 DVD방, 멀티방 등 밀폐된 유형에만 적용되는지 일반 사무실이나 공장도 해당되는지 구체화된 게 없습니다. <br> <br>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3단계 거리두기를 시행하는데요, 이 곳에서의 효과나 시행착오들을 정부가 예의주시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경제정책산업부 이상연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