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우익 성향이 강한 아베 총리와는 악재가 많았습니다. <br> <br>무역 갈등까지 겹치면서 한일 관계가 역대 최악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었는데요. <br> <br>아베 총리의 퇴장을 청와대는 어떻게 보고 있는지 현장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강지혜 기자! <br> <br>질문 1) 조금 전 청와대가 입장을 밝혔다고요? <br><br>[리포트]<br>네, 청와대는 공개적으로는 아주 짧게 서면으로 원론적 입장만 냈습니다. <br> <br>"아쉽게 생각한다.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"의미있는 성과를 남겼고, 한일 관계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해왔다"며 긍정적 평가도 했습니다. <br> <br>예의를 갖춘 외교적 수사로 보입니다. <br> <br>실제 청와대 내부 분위기는 신중합니다. <br> <br>아베 총리의 사임이 한일간 갈등을 푸는데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써는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양국간 갈등 사안인 위안부 합의 파기와 강제징용 배상 판결, 일본의 수출규제와 지소미아 연장 등에서 한일간 새로운 해법 찾기가 시작될 거란 기대는 있어 보입니다. <br><br>질문 2) 아베 총리가 집권했던 긴 시절, 한일관계는 대체로 순탄치가 않았지요?<br><br>그렇습니다. 아베 총리 취임 초부터 최근까지 양국 관계가 좋았던 시기는 짧았습니다. <br> <br>이명박 전 대통령이 아베 총리 취임 직전 독도를 전격 방문하면서 한일 관계는 급속도로 냉각됐습니다. <br> <br>[이명박 / 당시 대통령 (2012년 8월)] <br>"한국령. 한국령." <br> <br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 (2013년 4월)] <br>"일본 각료에게는 어떤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(야스쿠니에) 참배할 자유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힙니다." <br> <br>박근혜 정부에서도 갈등은 지속됐습니다. <br> <br>2014년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는 준비해 온 한국말로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인사를 건넸지만 박 전 대통령은 눈길조차 주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 (2014년 3월)] <br>"박근혜 대통령님을 만나서 반갑습니다." <br> <br>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가 성사되면서 한일 관계는 잠시 좋아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위안부 합의 파기에 이어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났고, 일본은 수출규제로 맞섰습니다. <br><br>우리 정부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를 잠시 종료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한미일 관계에 있어서는 아베 총리가 미일 밀월관계를 주도하면서 한국이 배제되는 분위기였는데 이런 관계에도 변화가 올지 <br>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