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. <br> <br>전국 의료계 파업이 일주일째 이어지면서, 의료 공백의 피해 사례가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응급환자가 병원을 전전하다 치료 때를 놓쳐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> <br>집 앞 5분 거리에 병원 응급실이 있었는데도 말이죠. <br> 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오전 의정부에서 심정지 상태의 30대 남성이 병원 응급실로 실려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도착한 병원을 포함해 4개 병원에서 모두 진료를 거절당했습니다. <br> <br>의료진이 또는 병상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. <br> <br>[대형병원 관계자] <br>"전화가 왔는데 지금 전공의가 파업 중인 관계로 CPR(심폐소생) 환자를 받을 상황이 아니었다고 거절을 했다고 합니다." <br> <br>[장하얀 기자] <br>"심정지 환자를 태운 구급차가 가장 먼저 도착한 병원입니다. <br> <br>환자의 집에서 5분 거리였지만 응급실에서 환자 수용이 불가능해 환자는 다른 병원을 찾아야 했습니다." <br><br>처음 방문한 집 근처 병원에서 거절당하자, 구급대원은 즉시, 인근 대형병원 등 3곳의 응급실에 환자 수용 여부를 물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모두 거절당했고 할 수 없이 30분 거리의 양주시 병원으로 환자를 다시 이송했습니다. <br> <br>결국, 119신고에서 양주병원까지 40분 정도 시간이 지체됐고, 환자는 숨졌습니다. <br><br>의료 파업이 한창인 지난 26일, 부산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 음독자살을 시도한 40대 남성이 구급차로 병원에 실려왔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병원 13곳에서 치료를 거절당했습니다. <br> <br> 6곳은 의사나 장비가 부족해서, 7곳은 약물중독 치료가 불가하다며 거절당했습니다. <br> <br>이 남성은 부산 병원에서 울산의 병원까지 도착하는데 3시간 넘게 지체됐고, 결국 숨졌습니다. <br> <br> 이번주 의료공백은 의료계 파업이후 지난주부터 명백하게 예견됐던 일로, 그 우려는 곳곳에서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jwhi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