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런 상황인데도 강대 강 충돌 상황은 점입가경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파업 중인 전공의 10명을 고발하며 현장 복귀를 압박했지만, 전공의에 이어 대형 병원 교수진까지 집단행동을 예고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보건복지부가 업무개시 명령을 따르지 않은 수도권 전공의 10명을 경찰에 고발했습니다. <br> <br>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대하며 파업에 들어간 전공의와 전임의에게 현장 복귀 명령을 내린 지 이틀만입니다. <br> <br>복지부는 업무개시 명령 대상을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이 같은 조치를 발표하는 자리에는 법무부와 경찰청 관계자까지 참석해 의료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. <br> <br>[김강립 / 보건복지부 차관] <br>"대화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음에도 집단휴진이라는 극단적 방법만을 계속 고집한다면 국민들은 더 이상 의사를 신뢰하기 어려울 것입니다." <br> <br>의료계는 즉각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[최대집 / 대한의사협회장] <br>"13만 의사 전체에 엄청난 분노를 일으켰습니다.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겠습니다." <br> <br>대한의사협회는 직권남용 혐의로 박능후 복지부 장관에 대한 고발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또한 전공의와 전임의 한 명이라도 불이익을 받게 될 경우 3차 파업도 검토하겠다고 맞섰습니다. <br> <br>전공의들은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을 거부하는 차원에서 휴대전화를 꺼놓는 이른바 '블랙 아웃' 투쟁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전공의 파업이 일주일째 이어지면서 의료 공백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진료가 어려워지자,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100명은 31일 이후 외래 진료를 축소하는 방안 등을 논의중입니다. <br> <br>의료계와 정부가 해법을 찾지 못하면서 환자들만 고스란히 그 피해를 떠안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kubee08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