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2단계보다는 강하고 3단계보다는 낮은 2.5단계. 처음 겪는 제도에 헷갈리는게 아직도 많습니다. <br><br>김단비 기자와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.<br><br>질문1) 체인점 형태인 커피전문점 매장에서는 커피를 마실 수 없다고 하는데 빵과 커피를 같이 파는 곳은 여기 해당되나요?<br><br>파리바게트나 던킨도넛처럼 빵을 위주로 팔고 음료를 곁들여 파는 곳들은 제과점에 해당합니다. <br><br>이러한 제과점은 밤 9시 전까지 매장 안에서 먹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스타벅스나 할리스같은 커피전문점은 샌드위치 같은 빵을 팔고 있지만 음료전문점이기 때문에 시간에 관계없이 테이크아웃만 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질문 2) 헬스장 같은 실내체육시설도 모레부터 운영을 중단하잖아요. 코로나19 때문에 홈트레이닝 받는 경우도 많은데 일대 일 강습은 괜찮나요?<br><br>저도 좀 헷갈려서 취재를 해봤더니 복지부 역시 "유권해석이 필요한 부분이다"며 명확한 답을 주지는 못했습니다.<br><br>일대일 강습은 집단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없지만 설령 집이라고 해도 밀폐된 공간이고 비말 발생이 많기 때문에 위험성을 따져볼 필요는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지자체별 판단에 따라 앞으로 업종이 더 추가되고, 약간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게 복지부 설명입니다. <br><br>질문 3)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에서 확진자가 급증하다 보니까 내 주변 곳곳에서 확진자가 나왔다는 분들 많아요. 예를 들어 내가 다니는 회사에서 확진자가 나왔다면 저도 바로 검사 받아야 하나요? <br><br>지난달에 나온 코로나19 대응지침서를 다시 꼼꼼하게 살펴봤는데요. <br><br>몇 가지 예시가 있습니다.<br><br>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확진자와 2미터 거리 내에서 몇 분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면 검사 대상입니다.<br><br>같은 사무실이지만 부서가 달라서 멀리 떨어져 앉거나 서로 말할 일이 없는 경우도 있죠. <br><br>이 경우 근무하는 동안 마스크를 밀착해서 착용했고, 대화나 마주칠 일이 없었다면 검사 우선대상은 아닙니다.<br><br>같은 층은 아니지만 같은 건물에서 확진자가 나왔다면 어떨까요?<br><br>이 경우도 마스크의 착용 유무가 중요한대요.<br><br>복도나 엘리베이터에서 상대방과 자신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마주쳤다면 검사를 받는 게 좋습니다.<br><br>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일 뿐, 의심된다면 무조건 검사받으셔야 합니다.<br><br>질문4) 무증상 확진자들이 가는 생활치료센터에 자리가 없다보니 최근엔 2인 1실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. 그런데 이게 더 불안하다, 차라리 자가 격리하면 안 되냐는 분들도 있어요. <br><br>네, 하지만 증상이 없더라도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는 게 원칙입니다. <br><br>확진자에게 의학적 처치가 필요하면 병원으로 확진자의 증상이 가볍거나 없으면 생활치료센터로 보내집니다.<br><br>무증상자를 집에서 격리치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아직은 아닙니다. <br><br>[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<br>"자가치료는 저희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해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검토하고 준비하는 상황이지, 구체화돼 있거나 그런 상황은 아닙니다."<br><br>최근 사망자 6명 중 4명이 숨진 뒤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.<br><br>방역당국은 바로 이 점이 우려스럽다며 역학조사 역량을 시험받고 있는 상황이라고까지 표현했습니다.<br><br>역학조사가 감염 확산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뜻인데요. <br><br>방역당국은 우리 주변에 아주 가까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돌아다니고 있다고 생각하고 행동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><br>네, 지금까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