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A 시작합니다. <br> <br>사회적 거리두기 2.5단계 시행 첫날입니다. <br> <br>2단계와 3단계의 중간 수위라고 하지만, 국민들의 체감 정도는 생각보다 컸습니다. <br> <br>대한민국이 멈춰선 듯 쇼핑몰도 카페도 이렇게 한산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9월 6일까지를 “천만 시민 멈춤 주간”으로 정하고 “일상을 포기한다는 각오로 방역에 철저를 기해달라”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한편, 코로나19 대규모 감염 비상사태에도 파업을 지속해온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오늘 파업을 중단할지 강행할지를 놓고 긴급회의를 열었는데요. <br> <br>결국, 정족수 미달로 부결됐던 1차 결과를 뒤집고 집단행동을 강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전공의들의 파업 지속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시했습니다. <br> <br>조현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대병원 소속 한 전공의가 공공의대 설립을 비판하는 피켓을 들고 1인 릴레이 시위를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21일부터 집단휴진을 해온 대한전공의협의회가 파업을 계속하기로 결정한 겁니다. <br> <br>어젯밤 10시부터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자 긴급 비상대책위를 열어 두 차례 표결을 진행한 결과입니다. <br><br>첫 투표에서는 파업 지속 의견이 많았지만 과반 정족수를 1표 차이로 채우지 못해 안건이 부결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재투표에선 압도적인 표차로 무기한 파업을 택했습니다.<br><br>앞서 이들은 지난 28일 한정애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을 만나 코로나19 확산이 안정화 될 때까지 의대 정원 증원 등 관련 법안 추진을 중단하고 협의 기구를 구성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한다는 약속을 받았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전공의 내부에서는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강경론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깊은 유감을 드러내며 진료현장에 복귀해달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생사의 갈림길에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을 외면하는 결정을 한데에 깊은 유감을 표합니다.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수 밖에 없습니다." <br> <br>의과대학 교수들은 정부의 전공의 고발 조치에 반발하며 "제자들에게 불이익이 생기면 집단행동에 나설 것"이라고 밝힌 상황. <br> <br>내일부터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들이 진료업무를 축소하고 대한의사협회도 다음 달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의료 현장의 혼란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명철 <br>영상편집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