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업 계속 vs 법적 대응…의료공백 장기화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21일 시작한 전공의 파업이 열하루째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들이 파업지속 여부를 투표했는데, 강행하기로 결정되면서 오늘(31일)도 집단휴진이 계속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추가 법적 대응을 예고했고, 의대생은 물론 의대교수들까지 나서고 있는 상황이어서 진료공백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집단휴진에 나선지 열흘째를 맞은 전공의들.<br /><br />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파업을 지속할지를 놓고 투표를 진행했는데, 결국 강행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습니다.<br /><br />의결 정족수가 부족해 재투표까지 실시했지만 전공의들은 완강했습니다.<br /><br />전공의들과 일부 병원 전임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며 집단행동의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깊은 유감을 표하며 진료현장 복귀를 재차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의사단체와 공공의대, 의대정원 확대를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겠다는 양보안을 몇차례 제시했음에도 명분없는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미복귀시 법적대응도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재 전공의 등의 집단휴진은 환자들의 희생을 요구하는 불의한 행동입니다. 우선적으로 생명과 직결되는 가장 긴급한 응급실과 중환자실부터 법적 절차를 진행하게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외래 일정 조정 등으로 버텨왔던 주요 대형병원들은 현재 교수들이 진료와 수술, 야간 당직을 모두 맡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의과대학 교수들마저 성명을 내는 등 교수급 의료진마저 사직하거나 집단휴진에 나설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의대생들은 국가고시 시험 거부와 동맹 휴학을 통해 동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업무개시명령에 이어서 이례적을 신속하게 그것도 의료계에서 가장 젊은 의사들에게 고발조치를 하고 이런 일련의 강압적인 과정 때문에 의료계 내부에서는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…"<br /><br />개업의들이 속한 대한의사협회도 다음달 7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상황이어서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