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갑자기 사임한 일본 아베 총리의 뒤는 누가 잇게 될까요. <br><br>스가 관방장관이 유력하게 떠올랐는데, 진짜 그렇게 된다면. 사람만 바뀌지 우리로선 별반 다른게 없습니다. <br><br>왜 그런지 도쿄 김범석 특파원이 분석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스가 요시히데 / 관방장관] (지난 26일) <br>"(총리 출마는) 제 스스로 전혀 생각지 않고 있습니다." <br> <br>신중하던 스가 관방장관이 돌연 뜻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자민당 2인자 니카이 간사장이 "비상시국에 안정적으로 정권을 계승할 것"이라며 스가 장관에게 힘을 실어줬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스가 장관 역시 자신의 SNS에 "전력을 다해 직책을 완수해 가겠다"며 권력 의지를 내비쳤습니다. <br><br>최근 여론조사에서 스가 장관은 단숨에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몸은 더욱 낮추고 있습니다.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관방장관] <br>"자민당 총재 선거에 대해서 이 자리에서 언급은 피하고 싶습니다." <br><br>'리틀 아베'로 불리는 스가 장관은 6년 전 안중근 의사를 향해 이토 히로부미를 살해한 테러리스트라 했고, 최근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도 직접 나서 보복 조치를 예고하는 등 한국에 대해선 강경한 입장입니다. <br> <br>[이영채 / 게이센여학원대 교수] <br>"(한일관계)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봐요. 오히려 스가 장관은 정권 유지를 위해서 아베 정책을 충실히 할 것이고." <br><br>스가 장관의 급부상에 다른 후보들은 다급해졌습니다. <br> <br>기시다 자민당 정조회장은 오늘 아베 총리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했고,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는 이시바 전 자민당 간사장도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항입니다. <br><br>민심은 이시바, 당심은 스가, (아베) 복심은 기시다. <br> <br>일본에서는 다시 파벌 정치가 부활한 가운데 포스트 아베를 뽑는 선거 방식은 내일 결정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