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역조사 불응 수천명 '경찰 조사·억대 구상권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광복절 광화문 집회에 참석했지만 진단검사를 거부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대상자는 지자체별로 최대 수천명에 이르는데요.<br /><br />집회 이후 행정명령 위반으로 200명 넘게 입건됐고, 지자체는 억대 구상권까지 청구했습니다<br />.<br /><br />김경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기도가 밝힌 광화문 집회 참석자 중 코로나 관련 검사에 응하지 않은 도민은 2200여명입니다.<br /><br />지자체별로 수십명에서 수천명이 방역조사에 불응하고 있고 사랑제일교회 관련 대상자도 2천여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우선 지자체가 요청한 연락 두절자의 소재를 파악하고 행정명령 위반으로 고발된 사람들에 대해 수사중입니다.<br /><br />경찰은 광복절 집회 후 8,500여명의 신속대응팀을 가동중인데 현재까지 2주 동안 연락 두절자 341명 중 339명의 소재를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 조사 거부나 자가격리 위반 등 감염병예방법 위반으로 121건을 적발하고 253명을 입건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관계자는 "의도적인 방역조사 거부의 경우 구속영장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대응에도 방역조사 불응 사례가 계속되자 지자체는 구상권 청구 등 조치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경남 창원에서 거짓진술 후 확진돼 1,800여명을 검사 받게 만든 집회 참석자에게는 구상권 3억원이 청구됐습니다.<br /><br /> "확진자 입원 치료비뿐만 아니라 접촉자의 자가격리 진단검사 방역 등에 소요된 모든 비용을 산정해…"<br /><br />조속한 코로나19 종식을 위해 자발적인 방역조사와 지침 준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