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세나 앵커, 정지웅 앵커 <br />■ 출연 : 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제9호 태풍 마이삭이 강하게 발달한 채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습니다. 내일 남해안에 상륙해 내륙을 관통할 것으로 보여 비바람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데요. 전문가와 함께 태풍 전망과 예상되는 피해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케이웨더 반기성 예보센터장 나와 계십니다. 어서 오세요. 딱 일주일 만에 뵙는 것 같습니다. 지난주 태풍 바비에 이어서 현재 마이삭이 북상하고 있는데요. 현재 어디쯤 위치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반기성] <br />4시 현재 제주 서귀포 남서쪽 430km 정도에 위치하고 있고요. 중심 최대풍속은 47m, 초속입니다. 현재 이동하고 있고 현재대로 예상해서 올라온다면 오늘 밤 20시에 제주 동쪽을 지나서 내일 새벽 2시경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김해 인근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고요. 내일 아침 7시에서 8시 사이 정도에 삼척 정도에서 동해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주일 전이죠. 8호 태풍 바비가 또 왔었는데요. 바비와 비교했을 때 강도가 비슷하거나 조금 더 세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.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반기성] <br />실제로 바비하고 상당히 비슷한 건 바비도 그랬지만 굉장히 주변 기압계의 도움이 없이 고수온 해역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 태풍입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굉장히 아주 동그란 태풍의 원형을 유지하는 중심이 굉장히 강한 태풍의 공통점은 있는데 다르다는 건 일단 바비 같은 경우는 고위도에서 발생했는데 이번 마이삭 같은 경우는 태풍의 정상적인, 아주 정통적인 위치죠. <br /> <br />북위 15도 정도에서 발생해서 북상한다는 점인데 실제로 어제까지만 하더라도 기상청 예보로 보면 바비와 제주도 인근 해상을 지나갈 때는 강도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을 했었어요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늘 아침 4시에 발표한 걸 보니까 일단 바비보다는 세력은 약간 약화되는 것으로. 그러니까 제주 인근 해상을 지나갈 때 960헥토파스칼 정도로 보고 있거든요. <br /> <br />풍속은 40m. 지난번 어쨌든 기상청이 나중에 논란이 있었죠. 정말 그렇게 강했던 태풍이냐. 그런 논란이 있었는데 그 당시에 바비 같은 경우는 제주 인근을 지나갈 때 45m였거든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현재 마이삭 같은 경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90205245085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