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◇ 앵커 : 10호 태풍 하이선 북상 소식도 있어요. <br /> <br />◆ 반기성 : 그렇습니다. 하이선은 실제로 괌 인근 해상에서 만들어져서 1일날 만들어졌죠. 그러면서 올라오고 있는데 어제까지는 일본 규슈 쪽을 관통하는 것으로 예상이 돼서 안심을 했습니다. 아무래도 관통을 하고 올라오면 세력이 약해지니까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늘 아침 예상이 규슈 서쪽 해상. 바다로 올라오는 것이죠. 그렇게 되면 규슈 쪽에 일부는 부딪친다고 하더라도 세력은 그렇게 크게 약화되지 않고 부산 서쪽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건 오히려 마이삭보다 약간 더 서쪽으로 지금으로 보면 거의 거제 쪽 인근 해상 쪽으로 상륙하는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거제와 사천 사이가 아마 될 것 같은데 이게 문제는 지금 마이삭 같은 경우는 강릉 쪽으로 빠져나갔는데 이건 그대로 북상을 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그대로 북상을 하다 보니까 우측 위험반원 쪽에 훨씬 더 많은 우리나라 지역에 위치를 하게 되니까 굉장히 어떻게 보면 마이삭보다 피해가 더 클 가능성도 있고요. <br /> <br />두 번째는 수도권과 굉장히 가깝게 지나간다는 겁니다. 100km 이내로 지나가다 보니까 피해가 상당히 클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. <br /> <br />◇ 앵커 : 끝으로 하나만 더 질문 드리겠습니다. 지금 이게 내륙을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기 때문에 하이선의 강도를 이번 태풍 마이삭이나, 강하다고 말씀하셨던 매미와 비교를 한다면 어떻겠습니까? <br /> <br />◆ 반기성 : 실제로 가까이 왔을 때 거리로 보면 현재 예상으로는 규슈서쪽해상에 있을 때 최대 풍속이 45m 정도 보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강도는 매미나 마이삭과 거의 비슷한 정도입니다, 현재로 봐서는. <br /> <br />앞으로 더 어떻게 될지는 두고 봐야 되겠지만. 그런데 문제는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진로가 더 위험한 진로로 북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죠. 그래서 피해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린 겁니다. <br /> <br />◇ 앵커 : 그렇군요.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아니고 진로가 계속 바뀔 수도 있고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단은 기상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90309305996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