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대구·경북에도 크고 작은 피해가 속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경북 동해안에서만 2만여 가구에 전기 공급이 끊기고, 40여 명의 주민이 대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전화로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 허성준 기자! <br /> <br />대구·경북 지역 상황이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번 태풍은 비보다는 바람 피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포항 구룡포의 최대 순간풍속이 초속 45m를 기록했고, 영덕 31, 경주 감포는 27.5m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곳곳에서 가로수가 부러지고, 간판과 각종 시설물이 훼손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강풍으로 고압선과 변전소 시설에 이상이 생겨 경북 6개 시·군 2만 천7백여 가구에 정전 피해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덕에서만 만5천7백 가구의 전기 공급이 끊긴 것을 비롯해 포항 2천6백 가구, 청송 천7백여 가구가 정전 피해를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울진과 예천, 영양에서도 정전 사고가 잇따랐고, 휴대전화 통화도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포항시 구룡포읍에서 주택 지붕이 부서져 2명이 마을회관으로 몸을 피하는 등 모두 27가구 주민 48명이 대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울진 후포항에서 선박 1척이 침몰하는 등 선박 피해도 3건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북에서만 하루 사이 3백 건에 가까운 피해신고가 접수됐지만,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구에서도 나무 쓰러짐과 지붕 훼손 등으로 90여 건의 안전조치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구 효목동에서는 2천5백 가구가 순간 정전되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겪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태풍의 흔적이 속속 드러나고 있지만, 아직 안심하기는 이릅니다. <br /> <br />정오를 기해 경북 동해안과 울릉도에 강풍 경보가 내려지는 등 바람이 거셉니다. <br /> <br />또 천문조로 바닷물이 높은 기간이라 동해안에서는 폭풍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만큼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대구경북취재본부에서 YTN 허성준[hsjk23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90311413043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