극적 합의 이끈 與 지도부…정치적 부담도 커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취임 후 가장 먼저 공을 들인 사안은 바로 의료계 집단 휴업 사태였습니다.<br /><br />리더십을 발휘해 극적으로 합의안을 이끌어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추진하던 정책에서 한발 물러섰다는 점에서 정치적 부담도 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백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낙연 대표가 취임 이후 가장 강조했던 것은 코로나19 국난 극복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이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것입니다. 실업자는 늘고 여러분의 삶은 더 고달파질 것입니다. 국민 여러분과 마음을 나누며 이 고통이 하루라도 빨리 끝나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첫번째로 풀어야 할 난제는 의료계 집단 휴업 사태였습니다.<br /><br />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임명 바로 다음날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과 비공개 회담을 가졌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양측은 접점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 "완전하게 제로의 상태에서 논의를 할 수 있다고 하는 것, 민주당은 의료계 단일안을 도출해 온 최대집 회장과 새벽까지 이어진 마라톤 협상끝에 5가지 합의안을 만들었습니다."<br /><br />정치권에서는 한국노총 출신의 한정애 의장이 특유의 협상력을 발휘해 극적 타결을 이끌어냈다는 평가가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합의안은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신설 추진 논의를 중단하고, 의정협의체를 구성해 의료현안을 긴밀히 논의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.<br /><br />의료진 파업 과정에서 불거진 의사고시 응시 거부사태와 전공의 고소고발 사건 역시 해결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 "의사 국가고시 우려가 해소되고 정상화되기를 바랍니다. 전공의 고발의 문제도 최선의 방법으로 해결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이낙연 대표가 이끄는 지도부가 지도력을 발휘해 첫 성과를 냈다는 평가속에, 일각에서는 "의료진의 인질극에 백기투항한 것 아니냐"는 비판과 함께 이해당사자들의 강력 반발에 주요 국정과제 논의를 중단했다는 점에서 정치적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백길현입니다. (whit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