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 <br>대한의사협회-정부여당이 집단휴진 중단에 합의했죠. <br><br>하지만 오늘도 의료현장에는 공백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“협상과정에서 배제됐다.” 전공의들이 반발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반발하는 건 전공의들만이 아닙니다. <br><br>공공의대 설립 의사정원 확대에 찬성해온 단체들은 물론 여당 내에서도 굴욕협상, 백기투항이란 비난을 쏟아냈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, 여당은 최대한 빨리 의료계와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자칫 코로나 사태 속 <br>공공의료 갈등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‘미봉책’이라는 말 뜻처럼 급한 불 끄려 대충 바늘로 꿰맨 상황이 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먼저 전공의 쪽 상황부터 박정서 기자가 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대한전공의협의회 박지현 비대위원장은 오늘 채널A와의 통화에서 전공의들의 향후 행보에 대해 "내부 의견 취합 중"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<br>[박지현 /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] <br>"저희랑 얘기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저희 내부에서도 그거(진료 복귀)를 받아들일지 말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중입니다." <br><br>주말동안 회의를 하고 오는 7일 내부 의견 수렴을 통해 진료 복귀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는 설명. <br><br>어제 오후 발표한 대전협 공식 입장문에서는 전공의·의대생 보호가 이뤄지지 않으면 단체 행동을 멈출수 없다며 보호 대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또, 오늘까지 대한의사협회로부터 추가 메시지는 오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><br>[박지현 /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] <br>"의협 측에서는 전공의들을 만나 설득한다거나 그런 제스처는 전혀 없었고요. 그 밀실야합에 대해서 설명하는 자리도 관련된 이사들도 전혀 제스처가 없었습니다." <br><br>전공의들은 합의 내용보다 계속해서 '절차'를 문제삼고 있는 상황. <br><br>어제 합의 이후 공개된 1분 20초의 통화 내역에서는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과 갈등이 치닫기도 했습니다. <br><br>"그러고 (여당, 정부와의 합의를) 강행을 하셨더라고요." <br>"어제 범투위(범의료계 투쟁위원회) 회의는 뭐야?" <br><br>"그렇게 변명하시는 건 말씀이 안되는 것 같은데. 저희가 새벽에…." <br>"사실관계를 말하는 것이고. 대전협은, 비대위는 원래 갖고 있는 생각이나 계획을 그대로 가면 되잖아." <br><br>이번 파업으로 장기간 의료공백이 빚어진 대학병원들은 아직 전공의들의 진료 복귀 소식이 없다며 일단 이들의 공식적인 발표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의료계 내부 갈등이 깊어지면 환자들의 불편은 당분간 불가피한 상황, 전공의들의 결정이 주목되는 시점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