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밤인데 대낮같이 환한 이곳, 미국 뉴욕에 있는 ‘코리아 타운’입니다.<br><br>반면 ‘차이나 타운’은 이렇게 텅 비었습니다. <br> <br>무엇이 뉴욕 밤 풍경을 가른 걸까요. <br><br>김정안 특파원이 현장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흥겨운 음악과 번쩍이는 조명. <br><br>곳곳엔 한글 간판이 눈에 띕니다. <br> <br>뉴욕의 한복판의 약 200m 거리는 갈비와 냉면, 비빔밥 같은 한국 음식을 파는 거대한 포장마차 촌으로 변신했습니다. <br> <br>[그렌트 / 뉴욕 코리아타운 포차 손님] <br>"여러 야외 상점이 밀집한 지역은 맨해튼에서 여기가 유일해요. 일부러 올 수밖에요." <br><br>한국인지 뉴욕의 한복판인지 헷갈릴 정돕니다. 실내 영업이 금지되면서 이렇게 실외에 포장마차 촌을 만들고 코리아타운 업주들은 새로운 자구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><br>뉴욕시는 지난 7월부터 코리아타운을 주말 '차 없는 거리'로 지정하고, 야외 영업을 허용했습니다.<br><br>혹시 모를 감염을 막으려고 테이블마다 칸막이가 설치됐고, 종업원들도 마스크와 장갑으로 중무장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다닥다닥 붙어 있는 테이블 사이로 노마스크 손님도 적지 않습니다.<br> <br>상인들은 걱정은 되지만 이대로 망할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코리아타운 상인] <br>“지나가면 사람들 많아 보이긴 하는데 안에는 텅텅 비었어요. 장사가 얼마나 되겠어요, (예년에 비해) 반도 안 되지…” <br><br>"리틀 이태리(이탈리아 타운)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~" <br> <br>알록달록한 장식과 벽화. <br> <br>이탈리아 소도시를 옮겨놓은 듯한 이곳도 최근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. <br><br>테이블마다 2미터 간격을 지키는 모습은 주말 불야성을 이루는 코리아타운과는 대조적입니다. <br><br>한때 뉴욕의 명물이었던 차이나타운은 인적이 뚝 끊겼습니다. <br> <br>늘 북적이던 맛집도 손님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. <br><br>기자: 식사할 수 있는 곳이 차이나타운엔 없나요? <br>주인: 글쎄, 어려워요. <br>기자: 포장만 가능한 거군요. <br>주인: (끄덕) <br> <br>코로나19를 '중국 바이러스'라 부르는 반중 정서에 더해 협소한 상점 구조도 한몫을 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사망자만 3만 명이 넘어 한때 죽음의 도시로 불렸던 뉴욕. <br> <br>세계 경제의 중심이라는 명성을 되찾으려고 분주하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. <br><br>뉴욕에서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<br>jki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