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호무역주의 확산…’소부장’ 기업 복귀 중요해져 <br />최근 2년간 중견기업 9개사 국내 복귀는 긍정적 <br />산업연구원 "업종별 차등화 유턴정책 펼쳐야" <br />"의료·안보 산업, 핵심 유턴업종 선정 필요"<br /><br /> <br />해외에 진출했다 국내로 돌아온 '유턴기업'이 늘어야 일자리가 늘고 경제가 강해지므로 앞으로 업종별 차등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영향으로 주요국들이 배타적 보호주의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의료와 안보 분야의 경우에는 복귀 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입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은 불산액 등 3대 품목에 대해 기습적으로 수출 규제를 강행한 뒤 1년이 지난 지금도 꿈쩍도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초 코로나19 확산 초기 자동차 부품용 배선뭉치인 와이어링 하니스는 중국에서 한때 공급이 끊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부품과 소재, 장비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이 중요해져 해외에 공장을 둔 기업들의 복귀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이맘때 현대모비스와 부품 중소기업들의 국내 복귀가 희망을 준다면서 응원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진출 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 도입 이후 지난 7년 동안 유턴기업은 80개, 투자액은 1조 천억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유턴기업이 과거 진출했던 국가는 중국이 70개로 압도적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유턴기업 수는 지난 2014년 20개를 정점으로 아직 뚜렷한 증가세가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 지난해 3개와 올해 6개 등 중견기업 9개사가 국내에 복귀한 점이 긍정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기업 유턴이 부진한 원인에 대해 산업연구원은 모든 업종에 동일한 지원을 하는 보편적 정책 때문이라며 앞으로는 업종에 따른 차등화 정책이 요구된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코로나19의 대유행 속에 주요 나라에서 배타적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어 의료와 안보 산업을 핵심 유턴업종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경우 정부 허가 없이는 필터와 마스크 등의 수출을 아예 금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민혁기 / 산업연구원 통상정책실 연구위원 : 수출 규제라는 정책을 통해서 수입을 할 수 없게끔 만드는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에 주요국에서는 의료 부문에 있어서 공급망을 확보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소재·부품·장비와 의료 분야 기업 등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90622404487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