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특혜 의혹이 연일 터져 나오지만, 정작 당사자인 군에서는 감찰 움직임도 없습니다. <br> <br>그 뿐이 아니죠. <br><br>이 의혹을 조사하고 답을 해야 할 권익위원회도, 검찰도 묵묵부답입니다. <br> <br>국가기관들이 뭘 하고 있는지, 이민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국민권익위는 지난해 조국 전 장관 부인 정경심 교수가 검찰 수사를 받자 법무부 장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고 봤습니다. <br> <br>[이태규 / 당시 바른미래당 의원(지난해 10월)] <br>"조국 법무부 장관이 장관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십니까?" <br> <br>[박은정 / 당시 국민권익위원장(지난해 10월)] <br>"이해충돌 내지는 직무 관련성이 있을 경우 신고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 직무 배제, 일시 정지 처분이 가능 (합니다.)" <br> <br>법무부는 정부조직법상 검찰 사무를 관장하기 때문에 장관 배우자에 대한 검찰 수사는 직무 관령성이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권익위는 추미애 장관 아들이 검찰 수사를 받는 상황에 대해선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전현희 권익위원장이 민주당 국회의원 출신이어서 추 장관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성일종 / 국민의힘 의원] <br>"권익위까지 추미애 장관 친위대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. 전현희 위원장이 이 사건에 대해 직접 답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충돌에 해당하지는 않습니까." <br> <br>검찰 수사도 고발장이 접수된 지 8개월이 지나도록 진척이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수사를 맡은 동부지검은 지난 6월 부대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를 마쳤지만, 추 장관 보좌관의 전화 내용이 조서에서 빠지면서 <br>'축소 수사' 의혹까지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또 지난달엔 검찰 인사로 이 사건 담당 검사들까지 교체됐습니다. <br> <br>비난 여론이 일자 동부지검은 당시 수사를 담당했던 주임검사와 수사관을 다시 파견받았습니다. <br> <br>추 장관은 오늘 아들 의혹 등과 관련해 검찰 수사내용을 보고 받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