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박광렬 앵커 <br />■ 출연 : 윤지해 /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부동산 시장 동향 부동산 114 윤지해 수석 연구원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연구원님, 나와계시죠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조금 전 서울지역 전셋값 상승세 통계로 봤는데요. 실제 시장 분위기 지금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일단 서울 전세 가격이 61주 이상 상승을 했고요. 수도권 전체로 확대해서 보면 59주 연속으로 상승 국면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게 월간 기준으로 보시면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고요. 문제는 이렇게 장기간 전세 가격이 상승한 상황에서도 상승 폭이 더 커지는 데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저금리 상황에서 전세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지고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시행되다 보니까 재계약을 중심으로 전세 시장이 돌아가면서 시장이 유통되는 매물이 크게 줄어든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임대차 3법과 가을 이사철 영향으로 가격 감소 국면은 올해 내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저금리 얘기해 주셨고 또 사회적 거리두기로 아무래도 새로운 임대인, 임차인보다는 그냥 기존에 재계약을 많이 한다, 이런 얘기를 해 주셨어요. <br /> <br />그런데 전세 거래 자체도 많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많이 오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이런 전세 가격 급등 사례, 조사된 게 있습니까? <br /> <br />[윤지해] <br />일단 지난 한 주 기준으로 보면 서울과 수도권 평균 전세 가격이 0.10% 정도 올랐습니다. 주간 기준이고요. <br /> <br />서울 구별로 보시면 강동구가 한 주 동안 0.41%나 올랐고요. 송파구가 0.24% 그리고 광진, 노원, 양천, 구로, 도봉, 성북구 순으로 0.14%에서 0.18%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개별 단지 사례를 살펴보시면 강동구는 고덕동을 중심으로 고덕그라시움과 고덕 래미안힐스테이트, 고덕아이파크 이런 단지들이 한 주 동안 1500만 원에서 2500만 원상승을 했고요. <br /> <br />송파구에서는 잠실동을 중심으로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, 광진구에서는 광장동을 중심으로 1000만 원에서 1500만 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게 일주일 기준이니까 이걸 1개월 기준으로 넓혀서 보면 단기간에 수천만 원 상승한 단지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통 봄과 가을을 이사철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지금까지 추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90813093622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