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실업 한파가 심각합니다. <br> <br>취업자 수가 6개월 연속 감소했는데, 11년 만에 가장 오랜 기간 감소입니다. <br> <br>이마저도 이번 코로나 2차 재확산 여파는 반영되지 않은 수치라 다음달은 물론 올해 남은 기간도 회복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올해 2월 졸업 후 반년 넘게 금융권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29살 김성빈 씨. <br> <br>[김성빈/ 20대 취업 준비생] <br>"다른 인턴이나 대외활동, 자격증 같은걸 하면서 스펙을 쌓아야하는데 코로나때문에 이런거조차 다 막혀가지고." <br> <br>코로나19 재확산에 하반기 채용마저 불투명해지자 걱정이 더해집니다. <br> <br>[김성빈/ 20대 취업 준비생] <br>"이번에 못할거 같아서 많이 걱정이 되고 있습니다 . 지원할 수 있는 기회조차 얻지 못한다는 불안함이…" <br><br>코로나19 장기화로 고용시장이 크게 위축되면서 8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7만 4천명 감소했습니다. <br><br>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줄고 있는데,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11년만에 가장 긴 기간 줄어든겁니다. <br><br>특히 '쉬었음' 인구가 지난해보다 29만명 늘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이번 통계엔 코로나 2차 재유행 영향이 반영되지 않아 다음달 고용상황이 더 우려되는 상황. <br><br>대기업 74%는 올해 하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깊어진 고용 절벽에서는 공공일자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[박영범 /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정부가 만드는 일자리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니까 결국 민간 일자리 만들어주는 규제 완화라든가 그런 분위기를 만들어줘야죠." <br> <br>한편, 정부는 고용 취약계층 지원 내용이 포함된 4차 추경을 이번주 내로 국회에 제출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승훈 <br>영상편집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