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만13세 이상 국민에게 지급한다는 2만 원 통신비도 구설이 끊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빚 내서 굳이 줘야하냐는 의견도 있고. 통신비 주는게 경제 효과랑 무슨 상관이냐는 의문도 나옵니다. <br> <br>논란에 낀 이동통신사들도 고민이 많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어제 전국민 통신비 지원 대책을 발표한 홍남기 경제부총리. <br> <br>이런 결정을 내린 배경을 묻자 "대통령과 당 대표가 결정했다"는 말로 답변을 대신합니다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(어제)] <br>"대통령님과 당 대표 간의 어떤 간담회에서 최종적으로 13세 이상 국민들에게 (통신비를) 드리는 걸로 결정되었다는 말씀을 드리고요." <br> <br>경제적 효과에 대한 언급도 피합니다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(어제)] <br>"(통신비 지급의) 경제적 승수효과에 대해서는 조금 더 분석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." <br> <br>정부가 만 13세 이상 모든 국민에게 통신비 2만 원을 지원하기 위해 책정한 예산은 모두 9300억 원. <br><br>통신비 일괄 지급 대신 진짜 힘든 사람을 도와야하는 것 아니냔 목소리가 나오고, 지원금액의 절반은 이통 3사가 부담하란 주장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동통신사들은 좌불안석입니다. <br><br>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"통신비 지급을 놓고 갑론을박하는 것을 알고 있다"며 "특혜 받는 것처럼 보일것 같아 의견을 내기 조심스럽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정부는 일단 다음달 부과되는 9월분 요금 중 2만 원을 감면해 주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이동통신사들이 이용자들에게 먼저 할인 요금을 적용한 뒤, 정부가 통신사에 이를 보전하는 방식입니다. <br><br>요금이 2만 원이 안 되는 사용자의 경우 잔액을 이월받게 됩니다 <br> <br>하지만 추경 편성에 찬성했던 야당도 통신비 지원 항목은 국회 통과에 협조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어 심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