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19에 걸린뒤 후유증까지 겹쳐 지구 반대편 멕시코에서 사경을 헤매던 우리 교민이 입국해 국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<br><br>폐 기능이 완전히 손상돼의식조차 없을 정도로후유증이심각했었는데요. <br><br>1만 2천킬로미터를 날아와 오늘 폐 이식 수술을 받기 까지 기적의 나날들을 황수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공항 활주로로 구급차가 들어오자 의료진이 간이침대에 누운 여성을 환자 이송 비행기 '에어 앰뷸런스'에 급히 옮겨 싣습니다.<br><br>몸에는 '마지막 생명줄'이라 불리는 인공심폐기, 에크모 장비가 달려 있습니다.<br><br>환자는 지난 6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멕시코 교민 55살 김모 씨입니다.<br><br>40일 넘게 멕시코 현지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아 음성 판정을 받긴 했지만, 투병 과정의 후유증으로 폐기능이 완전히 손상돼, 멕시코 병원에선 '가망이 없다'는 진단을 받았습니다.<br><br>김씨 가족들은 모국의 의료진에게 맡겨보기로 결단했고, 김씨는 의식도 없는 상태에서 24 시간의 '위험한 여정'에 올랐습니다.<br><br>캐나다와 러시아를 거쳐 인천공항까지 1만 2천km.<br><br>2019년 미군이 에크모를 장착한 환자를 일본에서 미국까지 1만 800km 옮긴 이후, 에크모 환자의 최장거리 이송 기록이라고 관계자들은 밝혔습니다.<br><br>이같은 응급 환자 국제 이송엔 억대의 비용이 들어간다고 합니다.<br><br>[최영호 / 응급 환자 이송 업체 관계자]<br>"혈압이나 맥박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는 모니터를 달고 이동하게 돼 있거든요."<br><br>"이렇게 환자 상태가 실시간 모니터링 되고 있었기 때문에 24시간의 비행 과정에서 환자의 체온 상승 등 응급 상황이 발생했지만, 동승한 멕시코 의료진들이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었고요, 환자는 무사히 이곳 병원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."<br><br>[정재준 / 코로나19 확진 멕시코 교민 가족]<br>"전원을 허락해 주신 병원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리고요. 밤새 가면서 모든 에어 앰뷸런스 이송작전을 하셨거든요, 그분들께 감사드리고"<br><br>서울아산병원에서 한달동안 치료를 받은 김 씨는 건강 상태가 호전됐고, 오늘 기다리던 폐 이식 수술을 받았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<br>soohyun87@donga.com<br>영상취재: 강철규<br>영상편집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