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열 세살 넘는 전국민에게 통신비로 2만원을 지급하기로 논의됐었죠. <br> <br>실효성이 있을까, 의문이 제기되면서 지금 고위 당정청이 모여 다시 대책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강병규 기자입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고위 당정청이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통신비 2만원 지급 대책 등에 대해 다시 한번 논의합니다. <br> <br>예산 9천300억 원을 들여 만 13세 이상에 통신비를 지원하는 것을 두고 야권은 물론, 여권 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통신비 지급을 언급한 만큼, 큰 변화는 없을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입니다. <br> <br>고위 당정청 협의에 앞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비공개 최고위원 간담회에서도 통신비 지급은 논의할 사안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최인호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"이미 당정 간에 합의해서 결론이 났잖습니까? 결정이 난 사안입니다. 이미 국회로 넘어와 있습니다. <br>다시 오늘 자리에서, 간담회에서 논의할 사항이 아니죠." <br> <br>민주당 관계자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"나은 대안이 있으면 예산 심사 과정에서 수정이 가능하지만, 현재까지는 적합한 대안이 없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김경수 경남지사의 공공 와이파이 설치 제안 등은 시간이 오래 걸려 추경 취지와는 맞지 않다는 겁니다. <br> <br>야당에서는 대학생 장학금, 출생아 추가 지원금 지급 등을 제시하며 통신비 지급을 비판했습니다.<br> <br>[배준영 / 국민의힘 대변인] <br>"1조라는 돈이 손에 잡히기도 전에 기체처럼 날아가 버릴 것입니다. 우리가 원하는 것은 2만 원짜리 평등이 아닙니다." <br> <br>국회는 내일부터 4차 추경예산안 심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be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태 <br>영상편집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