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최대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고강도 제재가 오늘부터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화웨이가 반도체 부품을 새로 구매할 수 있는 길이 끊기게 돼 통신장비와 스마트폰의 세계시장 판도에 큰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기술을 활용해 만든 반도체는 오늘부터 미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화웨이에 공급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지난달 중순 발표된 미 상무부의 제재 방침에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윌버 로스 미 상무부 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기술과 장비를 이용해 생산된 반도체 판매는 금지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미 정부는 지난해 5월부터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제재 수위를 끌어올려 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잇단 제재 움직임에 중국 정부는 비난의 목소리를 높여 왔습니다. <br /> <br />[자오리젠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8월 18일) : (미국의 제재는) 글로벌 산업사슬과 공급사슬, 가치사슬을 파괴하고 미국의 이익과 이미지도 해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의 제재에 맞서 화웨이는 일단 대량 확보한 부품 재고로 버티면서 '홀로서기'를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자체 반도체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유럽기업과 합작해 '탈미국화' 공급 사슬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도 다음 달 발표할 14차 5개년 계획에서 한층 강화된 '반도체 굴기' 전략을 내놓으며 반도체 기술 자립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업계에선 미 제재가 계속되면 화웨이는 이르면 내년 초부터 일부 부품 재고가 바닥나 위기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협력 업체들의 매출 타격도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 매체 지웨이왕은 한국과 일본, 타이완의 협력 업체들의 매출이 294억 달러, 우리 돈으로 약 34조8천억 원 정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화훼이가 지난해 삼성전자 등 한국 기업들로부터 산 반도체 등 부품 구매액은 13조 원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스마트폰과 5G 통신장비 등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에 반사이익을 줄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[kyoj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91512024530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