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직격탄 맞은 노래방…월세도 못내고 폐업도 못하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코로나 19'의 재확산으로 '사회적 거리 두기' 2단계가 시행되면서, 영업을 금지 당한 노래방 업주들이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 지역에 1만 6천여개의 노래방이 있는데, 업주 대표들이 질병관리청을 항의차 방문했습니다.<br /><br />강창구 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기도 수원의 한 노래방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면서 지난달 18일부터 한달 가까이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뜩이나 영업이 안 되던 상태에서 가게 문까지 열지 못하자 업주들은 생계가 막막하다고 하소연합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로 인해서 장사도 못하고 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해도 돌려주지도 않고 우리는 어쩌란 말입니까"<br /><br />이처럼 영업이 금지된 수도권 노래방은 1만6천여개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업주들은 영업금지가 해제된 카페나 PC방과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합니다.<br /><br /> "식당이나 카페나 이런 곳에서 마스크 착용도 안하고 대화를 많이 해서 비말이 많이 되고 있는데 그런 업종들도 고위험군에 속해야되는거 아닙니까"<br /><br />노래방 업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항의방문했습니다.<br /><br />헌법으로 보장된 사유재산권을 박탈하고도 정당한 보상을 외면하고 있다며 조속한 영업재개 허용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노래연습장을 이런 식으로 정부에서 어떤 조사도 해보지도 않고 무조건 강제로 문 닫아라, 무슨 정부가 깡패입니까"<br /><br />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종료시점인 27일 이후에도 강력한 방역강화 조치를 시행할 방침이어서 업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.(kcg33169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