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검찰 수사를 핑계로 아예 손놓고 모르쇠로 일관하는 국방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따지고 보면, 이 의혹의 시작인 휴가 연장 문의부터, 휴가 자료 보관까지 다 국방부 소관입니다. <br> <br>지금도 민원실 녹음 파일을 확인할 생각이 없고, 민원 전화를 받았다는 군 간부 조사도 검찰에 떠넘겼습니다. <br> <br>정하니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"검찰에서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" <br>"검찰 수사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" <br>"검찰에서 잘 밝혀주기를" <br> <br>정경두 장관은 추미애 장관 아들 서 모씨의 특혜 휴가 의혹에 대한 민감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검찰 수사를 이유로 답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사건의 발단이 군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해명은 궁색합니다. <br> <br>애초에 추 장관 보좌관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상급부대 간부가 찾아와 집에 있던 서모 씨를 휴가 연장 처리하라고 지시한 것이 문제의 시작인지만, 군은 몇 달이 지나서야 문제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검찰이 복사해 간 민원실 전화 녹음은 의혹을 풀 핵심 열쇠지만 국방부는 들어보지도 않았고 앞으로도 확인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문홍식 / 국방부 대변인 직무대리] <br>"수사에 혼선이 있을 수도 있고 그런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저희들이 자체조사는 하지는 않았다고 말씀드렸던 것입니다." <br> <br>검찰은 현재 1500여 건의 녹취 파일을 분석 중인데 결과가 나올 때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> <br>국방부가 추 장관 아들 관련 공식 입장을 낸 건 단 한 번뿐으로 이마저도 내부 문건 유출 뒤 대응 차원이었습니다. <br> <br>[정경두 / 국방부 장관 (지난 14일)] <br>"그 전날 언론에 국방부에서 만든 그 내용이 발표됐지 않았습니까. 그것이 국방부 자료가 맞느냐 안 맞느냐(해서 발표했다.)." <br> <br>국방부는 지휘관의 실수처럼 말하지만 휴가명령과 병가기록이 없는 건 공공기록물법 위반으로 처벌 대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 <br>honeyjung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