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반면 더불어 민주당은 추미애 장관은 끝까지 안고 가는 분위기 입니다. <br> <br>이유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1호 공약,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 출범입니다. <br> <br>여기서 밀리면 공수처 추진이 어렵다는 분위기가 민주당 내에서 감지됐습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를 마무리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. <br> <br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공수처와 검·경수사권 조정 등 권력기관 개혁을 필두로 정치, 경제, 사회 모든 영역에서 흔들림 없이 개혁과제를 완수하겠습니다." <br> <br>검찰개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만큼 공수처법 개정에 속도를 내겠다는 겁니다. <br><br>이미 공수처장 후보 추천위원 선정을 미루고 있는 야당 대신, 국회나 법학계가 추천할 수 있는 내용의 공수처법 개정안이 3건이나 발의된 상태입니다.<br> <br>민주당은 오는 21일 열리는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개정안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내년에 선거가 있어 공수처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"며 "이번 정기국회에 법안을 통과시켜 올해 조직을 가시화하는 게 목표"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검찰개혁이 운명이라며 사퇴를 거부한 것도 이런 당의 방향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[추미애 / 법무부장관(지난 14일)] <br>"검찰 개혁은 제게 부여된 과제이고요. 운명처럼 수용해서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." <br> <br>청와대 역시 야당의 공세에 등 떠밀리듯 추 장관을 바꿔선 안 된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조국 전 법무부장관도 야당을 중심으로 경질론이 제기됐지만, 청와대는 즉각 교체하지 않고 '명예로운 퇴진'을 배려한 선례가 있습니다. <br> <br>결국 공수처 출범 이후에 추 장관의 거취를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