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제는 접고, 돌돌 말 수 있는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습니다. <br> <br>휴대폰 시장이 포화 상태가 되자, 전 세계 제조사들이 형태를 바꾸는 혁신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효과음] <br>접고, 돌리고, 돌돌 말고. <br> <br>달라진 스마트폰 사용법입니다. <br><br>전면 스크린을 가로로 돌리자 또다른 화면이 나옵니다. <br><br>이번엔 스마트폰의 측면을 잡아 당기자 말려 있던 화면이 펼쳐집니다. <br> <br>LG전자가 하반기 내놓을 윙폰과 내년에 선보일 롤러블폰의 모습입니다.<br> <br>지난해 처음 폴더블폰 생산의 포문을 열었던 삼성전자도 후속작인 갤럭시Z폴드2를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"이렇게 넓은 화면을 반으로 접는 스마트폰 두 번째 버전이 오늘 전세계에 출시됐습니다." <br><br>2007년부터 스마트폰 하면 늘 막대형 화면이었는데 휴대전화 형태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에 접어들면서 제조사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혁신적인 기기 형태를 만드는 이른바 '폼팩터' 경쟁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.<br> <br>[최재붕 / 성균관대 기계공학 교수] <br>"앞으로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방식이라고 생각해요. 소비자가 "조금의 디테일이라도 나를 편하게 했구나" 라고 느끼게…." <br> <br>국내 기업 뿐 아니라 화웨이와 모토로라 등도 접는 형태의 휴대전화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제 남은 과제는 완성도. <br> <br>화면을 말거나 접는 휴대전화의 약점으로 꼽히는 두께와 무게, 유연성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서 승부가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박희현 <br>영상편집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