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에서는 대학이 코로나19 감염의 온상지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새 학기를 맞아 대면 수업을 강행한 대학가에서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뉴욕대를 비롯한 미국 대학들은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은 학생을 정학 조치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민 PD가 재학생을 연결해 현지 대학가 분위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학가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미국. <br /> <br />새 학기 대면 수업을 선택한 아이오와대학에서는 확진자가 2천 명 가까이 나왔고, 앨라배마 대학은 개강 열흘 만에 학생과 교직원 천여 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 동부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. <br /> <br />뉴욕주립대 오네온타 캠퍼스는 700여 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했고, 뉴욕대는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은 학생 20여 명을 정학조치 했는데요. <br /> <br />현지 학생들의 분위기는 어떤지 직접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민지/ 뉴욕대 재학생 : 뉴욕대가 공식적으로 왜 학생을 정학 조치했는지 발표하진 않았습니다. 아마도 해당 학생들이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 두기 등 학교의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실제로 9월 5일 밤 뉴욕대 건물 인근에 있는 워싱턴 스퀘어 공원에서 파티가 열렸습니다. 이 소식은 학교 측은 물론 학생들에게도 공분을 샀죠.] <br /> <br />실제로 대학 내 파티 문화는 집단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마이애미대학 학생들이 확진 판정을 받고도 집에서 파티를 열어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. <br /> <br />제대로 방역 준비가 되지 않은 시점에서 대학이 등록금 확보를 위해 대면 개강을 강행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민지 / 뉴욕대 재학생 : (뉴욕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고 있지만) 학생들 대부분은 온라인으로 수업을 듣고 있어요. 직접 캠퍼스에 가서 교수님과 학생들을 마주하며 수업을 듣는 것과는 아예 다른 거죠. 하지만 학교는 오히려 등록금을 1,500 달러(우리 돈 176만 원 상당) 정도 인상했습니다. 최근에 또 나오는 불만은 대면 수업을 듣기 위해서 기숙사에 입주하기 전 2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데요. 학교가 제공하는 식사가 형편없다는 소식이 SNS를 통해 계속 올라와요. 수박에 치킨을 섞은 음식도 화제가 됐죠. 말만 들어도 메슥거리는 조합인데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고, 현지 언론에도 여러 번 소개됐습니다.] <br /> <br />대학가에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3_2020091901162286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