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에서도 전셋값이 매맷값을 추월하는 아파트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'깡통전세'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종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있는 한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이 아파트 전용면적 14.49㎡는 지난달 4일 1억8천500만 원에 전세 계약이 맺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열흘 뒤인 지난달 14일에는 같은 주택형, 같은 층 아파트가 1억5천500만 원에 매매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셋값보다 매매가격이 3천만 원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매매가를 추월하는 전세 아파트가 비수도권 지역에 이어 서울에서도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동구 길동과 금천구 가산동 소재 소형 평수 아파트가 지난달과 이달에 걸쳐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높게 거래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구로구 구로동과 관악구 신림동의 소형 아파트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 : 임대차 3법 시행 이후에 재계약이 많아지면서 전세 매물은 줄었지만 가을 이사 철 수요가 늘면서 수급불균형이 생긴 상황입니다. 매매가격과 전세 가격 차이가 많지 않은 소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역전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'깡통전세'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 : 상대적으로 거래가 많지 않은 나 홀로 아파트나 다세대 빌라에서 전세 가격이 매매가격을 추월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는데 이런 곳에서는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해 국가가 대신 갚아준 올해 보증 액수는 지난달 말 기준 천516가구, 3천15억 원으로 지난 한 해 총액 2천836억 원을 이미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수[js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91915213653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