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석연치 않은 대목들 짚어드렸는데, 정치부 이용환 기자와 뜯어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1] 처음부터 좀 살펴보지요. 사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죠? <br> <br>간략히 정리해 보겠습니다. <br> <br>해양수산부 소속 직원이 실종됐다는 신고, 사흘 전인 21일 낮 12시 51분쯤 해경에 접수됩니다. <br> <br>군 당국은 다음날인 그제 오후 3시 30분쯤 이 직원이 북한 해상에 있다는 사실을 파악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6시간 정도가 지난 밤 9시40분쯤 바다 위에서 북한군 총에 의해 사망하고 시신이 불태워지기까지 한 겁니다. <br><br>[질문2] 이해하기가 힘든 게, 말씀하신 것처럼 군이 직원의 소재를 알고도, 사살될 때까지 손놓고 있었다는 거에요. <br> <br>군이 해명을 내놨는데 이유는 4가지였습니다. <br><br>우선 북한 해역이라 어찌할 방법이 없었고, 이 직원이 떠 있는 정확한 위치를 몰랐고, 이런 만행을 저지를 줄 몰랐다는 겁니다. <br><br>여기에 우리 군이 알았다는 것을 북한에 알리면 우리 첩보 자산이 들통나기 때문에 더더욱 아무런 조치를 못했다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3] 해명이 충분히 이해가 되지는 않네요. 야당은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데 핵심은 청와대,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언제 이 사실을 알았느냐인 것 같아요. <br> <br>청와대에 사망 첩보가 전달된 것은 실종 신고 이후 21시간 정도가 지난 그제 밤 10시반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가 된 것은 이로부터 10시간이 지난 어제 아참 8시반이었습니다. <br> <br>보고는 서면이 아니라 대면으로 이뤄졌고요. <br><br>[질문4] 그러니까 10시간이나 걸린 거에요. 아무리 첩보를 확인하는 시간이 걸렸다고 해도 너무 늦은 거 아닙니까? <br> <br>그렇습니다. 끔찍한 일이 벌어졌는데 밤을 다 보내고 난 다음날 아침, 대면 보고가 이뤄진 겁니다. <br> <br>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보고까지 시간이 오래걸린 것 아니냐는 지적에 "저는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한다" 이렇게 설명하더군요. <br><br>[질문5] 청와대 설명은 대통령은 피살 사실을 몰랐다는건데요. 대통령이 몰랐다는 사실을 이렇게 길게 설명하는 이유가 뭔가요? <br> <br>마침 그 10시간 사이에 문재인 대통령의 종전선언 제안 화상 유엔연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대통령이 피격 사실을 알고도 종전선언 제안을 한 게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유엔 화상 연설은 어제 새벽 1시26분부터 16분간 진행이 됐는데요. <br> <br>이 때는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청와대에서 관계장관회의가 열리고 있을 때입니다. <br> <br>청와대 설명은 대통령이 피격 사실을 보고받지 못했기 때문에 유엔 연설과 연관 짓는 의혹 제기는 틀렸다는건데요. <br> <br>그 해명이 맞다하더라도 10시간 뒤에 보고하고, 청와대에서 긴급한 관계장관 회의가 열렸는데 대통령은 몰랐다는 게 또다른 논란꺼리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[질문6] 이것도 답답한 대목인데요. 우리 국민이 사망했는데, 이후에 청와대든 정부든 북한에 무슨 대응 조치라도 해야 하는 거 아닙니까?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에 책임자 처벌과 사과를 요구했으니까 아무런 대응을 안 하는 것으로 보지 말아 달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어떤 조치를 했느냐는 질문에는 "북한하고 지금 핫라인이 끊어져 있다"고 답변하더군요. <br><br>[질문7] 이번 일이 9.19 군사합의를 위반한 것인지에 대한 청와대와 군의 설명도 선뜻 이해가 가지는 않더라고요. <br> <br>청와대 국방부 모두 9.19 합의 위반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적대적 행위를 구체적으로 나열해 뒀는데 이번 같은 형태의 도발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 <br>국방부는 나중에 입장을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. <br><br>위반이 아니라는 설명은 접어달라, 이렇게 양해를 구한 뒤 면밀히 검토해 봐야 한다고 했습니다. <br><br>[질문8] 민간인이 피격됐다는 점에서 12년 전 박왕자 씨 사건이 떠오릅니다. <br> <br>박왕자 씨 사건은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 금강산관광에 나선 민간인 박왕자 씨가 새벽 산책 도중 북한군 총탄에 맞아 숨진 사건이죠. <br> <br>민간인이 총격을 받고 사망한 건 박왕자 씨 사건 이후 두번째인데요. <br> <br>제2의 박왕자 사건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박왕자 씨가 사망하자 이명박 정부는 금강산 관광을 중단했고, 이후 천안함 폭침 사건이 발생하자 독자 제재인 5.24 조치를 취했습니다. <br> <br>박왕자 씨 사망과 천안함 폭침에 대해 아직도 북한의 사과는 받지 못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번 만큼은 확실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네, 저희도 계속 취재하겠습니다. 정치부 이용환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