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뉴스 에이는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부터 시작하겠습니다. <br> <br>월북이다. 불법침입자였다. 시신을 태웠다. 아니, 부유물만 태웠다. <br><br>민간인인 우리 국민이 북한군 총에 맞아 숨졌다는 사실이 확인됐을 뿐, 우리 군이 분석한 첩보와 북한군이 밝혀온 사건 경위에는 너무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. <br> <br>왜 아귀가 맞지 않는가. <br><br>청와대는 북한에 추가 조사를 요구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<br>필요하다면 남북 공동조사도 요청하겠다, 밝혔습니다. <br><br>먼저 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가 어제 저녁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고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에 대해 필요하다면 북한과의 공동 조사를 요청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"북측 통지문에서 밝힌 사건 경과와 우리 측 첩보 판단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계속 조사해서 사실관계를 규명해 나가기로 했다"며 "북측에 추가 조사를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북측과의 공동 조사도 요청하기로 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특히 우리 군은 북한이 실종자 이 모 씨의 시신을 불태웠다고 발표했는데 북한은 통지문에서 사격 후 수색했지만 이 씨가 부유물 위에 없었고 불 태운 건 이 씨가 타고 있던 부유물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><br>또 우리 군은 이 씨가 북한군에게 월북할 뜻을 밝혔다고 했지만 북한은 신분 확인 요구에 '대한민국 아무개'라고만 하고 답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등 말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> <br>북한에 공동조사를 요청하게 되면 조사 주체와 내용, 범위, 형식 등을 모두 논의해야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공동조사를 계기로 끊어졌던 남북 대화가 다시 재개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회에서도 남북 공동조사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전해철 / 국회 정보위원장 (어제)] <br>"사체 부분에 대한 공동조사 이야기가 나왔다는 말씀드리고요." <br><br>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어제 한 언론 인터뷰에서 "공동조사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"며 "앞으로 시신의 수습, 공동조사 등의 진척을 추구하려면 대화가 불가피하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성훈 <br>영상편집 : 오영롱